속보

단독

‘1군 건설사’ 위기설 번진 부동산 PF 상황 긴밀 대응해야

입력
2023.12.18 04:30
27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1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간담회를 마친 뒤 취재진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지난 12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열린 금융지주 이사회 의장 간담회를 마친 뒤 취재진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화 우려가 시행사 PF 대출 때 시공사로서 은행 등에 보증을 선 중·대형건설사들의 신용위기로 번지는 양상이다. 올해 도급순위 10위권 후반의 '1군 건설사'임에도 해당 우발채무 등과 관련해 유동성 위기설이 이어진 A건설은 최근 워크아웃설까지 불거져 주가가 급락하는 등 난기류에 휘말리고 있다. 대기업 계열 B건설, C건설 등도 PF 우발채무로 인한 위기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건설·금융업계에선 PF 부실화 우려가 자칫 건설과 금융의 ‘시스템 위기’로 이어지지 않을지 전전긍긍하는 모습이다.

부동산 PF는 아파트 등 부동산 개발 시행사들이 금융사에서 사업비를 대출로 조달하는 걸 말한다. 사업성을 믿고 대출해주기 때문에 대개 시행사 PF에 대해 시공사가 사실상 연대보증인 신용보강을 하게 된다. 문제는 지난해 이래 지방 분양시장 냉각과 고금리 등으로 시행사들이 부도를 맞는 등 부동산 PF 대출 부실화 우려가 확산되면서 불똥이 시공사인 건설사로까지 튀게 됐다. 특히 금융당국이 최근 연착륙을 위한 부실 ‘솎아내기’를 시사하면서 위기감이 일시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다.

부동산 PF 대출 잔액은 지난 9월 말 기준 134조3,000억 원이다. 2020년 말만 해도 92조5,000억 원이었으나 최근 3년간 급증했다. 건설사들의 PF 보증규모도 2020년 16조1,000억 원에서 2022년 말 26조1,000억 원으로 함께 급증세다. 그런 가운데 2020년 0.55%였던 PF 연체율은 지난 9월 말 2.42%까지 올라간 상태다. 부실 위험이 그만큼 커지고 있다는 얘기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 12일 “(취약) 건설사·금융사는 시장원리에 따른 자기책임 원칙에 따라 (부실 정리) 진행이 불가피하다”며 본격적인 PF 부실 정리를 예고했다. PF 부실 ‘솎아내기’를 통한 선제적 대응에 나서겠다는 얘기다. 문제는 부실 정리가 말만 앞선 채 지연되면, 이번 A건설 상황처럼 시장 불안에 따른 부작용이 걷잡을 수 없이 확산할 수 있다는 점이다. 투명하고 신속하게 부실 정리에 나서되, 시장 불안을 최소화하는 긴밀한 대응이 절실하다.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