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폐경 여성 40%에게서 발생하는 골다공증…골절 전까지 증상 없어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소리 없는 뼈 도둑’ 골다공증 환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2018년 97만2,196명에서 2022년 118만1,805명으로 최근 4년 새 20만 명 넘게 증가했다(국민건강보험공단). 특히 여성 환자가 106만1,874명으로 남성(6만4,987명)보다 16배 이상 많았다(2021년 진료 인원).
홍남기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를 만났다. 홍 교수는 “골다공증은 여성호르몬이 급격히 줄어드는 폐경 후 50대 여성에게서 많이 발생한다”며 “골다공증에 걸리면 뼈가 쉽게 부러지기에 예방·진단·치료가 중요하다”고 했다.
-골다공증을 설명하자면.
“나이 들면서 뼈를 없애는 파골(破骨)세포와 새로 만드는 조골(造骨)세포 균형이 깨져 뼈의 양과 질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조그마한 충격에도 뼈가 쉽게 부러지는 상태가 되는데 이를 ‘골다공증’이라고 한다.
골밀도 검사(DXA)를 고관절(엉덩이관절)과 요추 부위에서 시행해 한 곳에서라도 T-점수가 -2.5 이하이면 골다공증으로 진단한다(-1.0 이상이면 정상, -1.0~-2.5라면 골감소증). 골다공증이어도 골절되기 전까지 별다른 증상이 없어 대부분 모르고 지내기 마련이다.
특히 여성은 폐경 후 뼈를 보호하는 여성호르몬 분비가 크게 감소하기에 취약하다. 폐경 여성의 40% 정도가 골다공증에 노출돼 있다(대한골대사학회). 여성은 열 살 더 많아질수록 골다공증 유병률이 두 배씩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50세 이상 남성도 10% 정도가 골다공증 환자인데, 남성호르몬 감소와 노화가 주요인이다. 남녀 모두 노화가 진행되면서 골 형성 속도 감소, 근육 소실, 균형 감각 감소로 인해 낙상·골절 위험이 커진다.
또한 염증성 장 질환, 류마티스관절염, 1형 당뇨병,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약(스테로이드 제제) 장기 복용, 유방암·전립선암일 때 호르몬 억제 보조 요법을 시행하거나, 조기 폐경, 저체중 등 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에게서 2차성 골다공증이 생길 수 있다.
여성은 54, 66세이면 국가건강검진에서 골밀도 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다. 대한골대사학회는 70세 이상 남성, 65세 이상 여성, 골절이 발생할 때, 비정상적으로 1년 이상 무월경인 폐경 전 여성, 저체중, 골다공증 유발 가능 질환이나 약물 투여 시 골밀도 검사를 권고하고 있다.”
-골다공증 진단을 받았다면.
“비약물 요법과 약물 요법을 병행해 치료한다. 비약물 요법으로 뼈 건강에 도움을 주는 칼슘과 비타민 D를 섭취해야 한다. 칼슘이 풍부한 식품으로는 우유·유제품(치즈, 요구르트, 우유 발효 음료 등)·뼈째 먹는 생선(멸치 등) 등이 있다.
식품만으로 충분히 섭취하기 어려운 골다공증 환자라면 보충제로 칼슘은 하루 총 800~1,000㎎, 비타민 D는 800~2,000IU 먹으면 된다. 다만 고용량 약제·주사 등으로 비타민 D 과잉 보충은 주의해야 한다. 운동은 근력을 보강하고 골 강도를 증진한다. 걷기·계단 오르기 등 체중이 실리는 운동을 1주일에 3회 이상 30분씩 실천하는 게 도움이 된다. 특히 줄넘기·달리기·등산 등 땅을 밟으며 중력이 온몸에 가해지는 운동은 골밀도를 높여 뼈 강도를 키운다. 다만 관절 질환이 있다면 증상을 악화할 수 있기에 뛰기보단 가볍게 평지를 걷는 게 좋다. 근력 운동으로는 체중을 이용할 수 있는 팔 굽혀 펴기·윗몸 일으키기·앉았다 일어나기 등이 좋으며 기구를 이용한 가벼운 웨이트 트레이닝도 도움이 된다.
약물 요법으로는 ‘골 흡수 억제제(비스포스포네이트, 데노수맙,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SERM) 등)’와 ‘골 형성 촉진제(테리파라타이드, 로모소주맙 등)’가 있으며, 골밀도를 높이고 골절 위험을 빠르게 줄일 수 있기에 비약물 요법과 약물 요법을 병행해야 한다. 골다공증은 당뇨병·고혈압과 마찬가지로 완치가 불가능하며 의사와 동반자가 돼 평생 관리가 필요하다.”
-골다공증을 방치하면.
“조그마한 충격에도 손목·발목·고관절·어깨·척추 등이 골절된다. 자기 키의 1.5배 높이 이내에서 뼈(두개골·손가락·발가락 제외)가 부러지면 골다공증성 골절로 볼 수 있다. 대규모 연구에서 골절한 적이 있으면 그렇지 않을 때보다 재골절 위험이 유의하게 높아 적절한 평가·치료로 재골절이 생기지 않도록 예방에 힘써야 한다.
척추 골절은 4분의 3 정도가 증상이 뚜렷하지 않거나 키만 줄어들 수 있기에 진단하지 않고 방치하기 마련이어서 다른 이유로 받은 복부·흉부·척추 영상 검사에서 우연히 진단될 때가 많다. X선 촬영 등 영상 검사에서 척추 골절이 하나라도 확인되면 골밀도 수치와 관계없이 골다공증으로 진단하고 1차 약 치료를 받을 수 있다(건강보험 적용됨).
고령인이 고관절 골절되면 1년 내 20%가 사망할 정도다. 이들 중 30% 정도만 전처럼 걷고 독립적으로 일상생활을 할 수 있다. 나머지 환자는 간병이 필요할 정도로 일상생활이 어렵다.”
-20대 젊은 층은 골다공증에 걸리지 않나.
“최근 건강검진이 활성화되면서 골밀도가 낮아 진료실을 찾는 20대 젊은이가 늘어나고 있다. 이들은 저체중, 지나친 식단 조절, 운동 부족 등으로 충분한 골량을 확보하지 못해 뼈가 약해져 있을 때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20, 30대에서도 충분한 영양 섭취와 근력 운동을 통해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게 중요하다. 젊은 층의 낮은 골량은 운동, 식이 조절, 칼슘과 비타민 D 보충, 골 소실 원인 평가 및 교정 등 비약물 요법을 우선한다. 약물 치료는 기존 골절 발생 여부와 골밀도 수치, 여러 위험 인자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행한다.”
-골다공증 치료 중 발치와 임플란트 같은 치과 치료를 받으면 안 되나.
“골 흡수 억제제(비스포스포네이트, 데노수맙)를 쓰고 있다면 발치나 임플란트 후 회복이 늦어지는 약물 연관 악골 괴사가 골다공증 환자 1만 명당 1명 정도로 드물게 생길 수 있다.
의료진과 상의해 골절 위험이 높지 않다면 일정 기간 약을 쉬거나(비스포스포네이트), 주사 후 3개월 이내 시점을 피하면(데노수맙) 발치와 임플란트를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
약을 쉬는 것은 비스포스포네이트에만 적용되며, 데노수맙을 포함한 모든 골다공증 약은 자의로 중단하면 골밀도가 다지 감소하고 골절 위험이 빠르게 증가하기에 골절 위험이 큰 환자에게는 준비 없이 약을 끊으면 위험할 수 있다.
약물 연관 하악골 괴사가 발생해도 골 형성 촉진제로 치료하면서 약물 연관 하악골 괴사 회복을 돕는 방법이 있기에 골절 위험이 높은 상황에서는 드물게 생기는 합병증 위험 때문에 치과 치료 시기를 놓칠 필요는 없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