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한국, 올림픽·월드컵 이어 남은 숙원은 세계박람회 유치… 3대 메가 이벤트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부산이 도전장을 던진 세계박람회는 세계 각국이 과학·기술·문화적 성과와 새로운 미래상을 소개하는 행사로서 '경제·문화 올림픽'이라고도 불린다. 국제박람회기구(BIE)가 공인하는 등록박람회, 인정박람회, 트리엔날레, 원예박람회 중 가장 규모가 큰 등록박람회에 해당된다. 개최 주기는 5년이다.
한국은 대전(1993년)과 여수(2012년)에서 인정박람회를 개최한 전례가 있다. 부산이 이번에 유치 경쟁에 나선 행사는 등록박람회다. 부산이 오는 28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BIE 총회에서 유치도시로 선정될 경우, 한국에서 열리는 첫 등록박람회인 셈이다. 인정박람회 특정 주제에 집중하는 행사라면 등록박람회는 광범위한 주제를 다루는 초대형 규모 행사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전시 면적 역시 인정박람회가 25헥타르(㏊) 미만인 반면, 등록박람회는 제한이 없다. 인정박람회의 경우 개최국이 국가관을 건축하고 참가국에 유·무상 임대를 하는 것과 달리 등록박람회는 개최국은 부지만 제공하고 참가국이 자국 경비로 국가관을 건설하는 방식이다.
등록박람회 기간은 6주~6개월로 인정박람회(3주~3개월)보다 길다. 이는 2주 내외인 올림픽, 1개월 내외인 월드컵보다 긴 기간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20일 "세계박람회는 6개월에 걸쳐 행사가 진행되는 만큼 국가와 지역의 경제, 산업, 문화, 관광 등 사회 전반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올림픽이나 월드컵과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크다"고 말했다.
세계박람회 유치 시 기대되는 효과는 산업연구원 추산 약 61조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 외에도 외교, 사회 등 다방면에 걸쳐 있다. 우선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위상을 한층 높일 기회가 된다. 세계박람회는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세계 3대 메가 이벤트'로 꼽힌다. 부산이 2030 세계박람회 개최에 성공하면 한국은 미국, 프랑스, 독일, 영국, 일본, 이탈리아에 이어 세 가지 행사를 모두 개최한 일곱 번째 나라가 된다.
기후변화 등 주요 이슈를 놓고 개최국이 허브 역할을 하며 세계 각국과 관계를 강화하는 의미도 있다. 한덕수 국무총리가 파리에서 유치전에 나섰던 지난 14일 페이스북에 "부산 엑스포는 결코 일회적인 행사에 그치지 않고 대한민국이 하나하나의 참가국들과 수십 년에 걸쳐 끈끈한 관계를 맺어 나가는 계기가 될 거라는 이야기를 (각국에) 전하고 있다"며 경제개발, 기후위기 등과 관련한 협력 의지를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부는 부산을 중심으로 한 국가균형발전 강화 등 사회적 효과도 세계박람회 유치의 긍정적 효과로 기대하고 있다. 상하이(2010), 밀라노(2015), 두바이(2020) 등이 세계박람회를 계기로 국제적 도시로 발돋움했듯, 부산을 한층 더 발전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부산연구원에 따르면 상하이, 밀라노, 두바이는 세계박람회 개최를 계기로 △광역 교통망 확충 △부동산, 관광, 물류 등 분야에서 해당 도시 및 인근 지역의 경제적 효과 △지속가능한 도시발전 가속화 등 효과를 봤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