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안보리 '이스라엘·하마스 교전 중단' 결의안 채택… "인질 석방" 촉구도

입력
2023.11.16 08:05
수정
2023.11.16 11:30
구독

찬성 12표... 미국·영국·러시아 기권
'하마스, 이 기습 공격 규탄'은 제외

바실리 네벤자(앞줄 오른쪽 두번째) 주유엔 러시아 대사가 15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 참석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간 즉각적인 교전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안 채택 후 발언하고 있다. 뉴욕=EPA 연합뉴스

바실리 네벤자(앞줄 오른쪽 두번째) 주유엔 러시아 대사가 15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린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 참석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간 즉각적인 교전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안 채택 후 발언하고 있다. 뉴욕=EPA 연합뉴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가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 정파 하마스 간 교전 중단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하마스가 붙잡고 있는 인질들을 조건 없이 석방하라고도 촉구했다.

15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유엔 안보리는 이날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안보리 이사국 15개국 가운데 찬성 12표였으며, 나머지 3표는 기권이었다. 상임이사국인 미국과 영국, 러시아가 기권표를 던졌다. 그동안 유엔 안보리에는 양측의 군사 행위 일시 중지 또는 휴전을 촉구하는 결의안이 네 차례 제출됐으나, 미국과 러시아가 거부권을 행사해 번번이 부결됐다. ‘휴전’을 촉구하는 러시아와 ‘일시적 교전 중단’을 주장하는 미국 간 입장 차가 주된 이유였다.

이번 결의안에는 인도주의적 관점에서 가자지구 내 교전을 즉각 중단해야 한다는 내용과 함께, 하마스가 억류 중인 인질을 무조건 석방하라는 촉구도 담겼다. 앞선 결의안이 부결된 후 안보리 이사국들은 물밑 협상을 벌여 '휴전'을 '교전 중단'으로, 인질 석방 ‘요구’는 ‘촉구'로 각각 완화하는 데 합의했다. 또 지난달 7일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 공격을 규탄하는 내용도 제외됐다.

린다 토머스-그린필드 유엔 주재 미국 대사는 결의안 통과 후 "하마스 규탄이 포함되지 않아 깊은 실망감을 느끼지만,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인질 석방 등 주요 조항들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바실리 네벤자 주유엔 러시아 대사는 "결의안에 즉각적인 휴전 요구가 포함되지 않았다"고 기권 배경을 설명했다.

김현종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