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먹는 하마' AI 서버를 '특별한' 기름 속에 넣었더니…전력 사용량 37% 줄었다

입력
2023.11.14 13:30
수정
2023.11.14 13:39
14면
구독

SKT, 국내 최초로 액침 냉각 효과 입증
특수 냉각유에 넣어 냉각, 서버 장비 열 흡수
먼지, 습도도 차단…서버 수면 연장 기대

SKT 직원들이 인천사옥에 설치된 액침냉각 테스트 장비를 점검하는 모습. SKT 제공

SKT 직원들이 인천사옥에 설치된 액침냉각 테스트 장비를 점검하는 모습. SKT 제공


SK텔레콤이 막대한 전력을 사용하는 인공지능(AI) 서버를 기름 속에 넣어 전력 소비량을 40% 가까이 줄이는 획기적인 냉각 방식을 검증하는 데 성공했다. 이 회사는 각종 서버를 전기가 통하지 않는 특수 냉각유 속에 넣어 차갑게 얼리는 차세대 열관리 방식인 '액침냉각' 기술 검증을 국내 최초로 성공했다고 14일 밝혔다.

SKT는 액침냉각 전문회사인 미국 GRC의 설비와 다양한 제조사의 테스트용 서버, SK엔무브의 특수냉각유(ZIC-GC2)로 자사 인천사옥에 액침냉각 시스템을 구축하고 6월부터 4개월 동안 실험했다. 그 결과 기존 공기냉각 대비 냉방 전력의 93%, 서버 전력에서 10% 이상이 절감돼 총전력 37%가 절감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데이터센터(IDC)는 대규모 데이터를 처리 및 저장하는 서버 운용은 물론 냉방·습도 유지 등에도 많은 전력을 소모한다. 국내외 IDC 업체들은 저전력 고효율 냉각 기술을 도입하거나 차세대 에너지를 사용하는 등 효율적 냉각 시스템을 갖춰 전력 사용량 절감을 위해 애쓰고 있다.

SKT가 이번에 검증한 액침냉각 시스템은 효율적 냉각 효과와 전력 절감 효과로 글로벌 정보기술(IT) 업계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 시스템은 차가운 공기를 순환시키거나 팬을 통해 냉각하는 기존 공랭식 시스템과 달리 전기는 통하지 않고 열전도는 높은 특수 냉각유에 서버를 직접 담가 냉각하는 유랭(油冷)식 시스템이다.



내년 자체 AI 데이터센터에 구축

SKT 액침냉각 시스템. SKT 제공

SKT 액침냉각 시스템. SKT 제공


공기보다 열전도가 훨씬 높은 특수 냉각유를 써서 직접 서버 장비의 열을 흡수하고 공기 냉각에 필요했던 서버의 송풍기를 없애서 냉각뿐 아니라 서버의 전력 절감도 가능하다. 서버의 주요 고장 원인인 습도, 먼지, 소음에도 자유로워 서버 수명 연장도 기대된다.

SKT는 자사 AI서비스를 위한 전용 IDC를 이달 중 인천사옥에 구축할 예정이며 액침냉각 시스템은 2024년 중 인천사옥에 본격 적용할 계획이다. 또한 SKT는 검증을 통해 입증된 데이터센터 모니터링 솔루션을 SK엔무브의 열관리 사업과 결합해 액침냉각 사업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조동환 SKT 최고정보책임자(CIO) 부사장은 "전력 소비가 높은 그래픽처리장치(GPU) 서버 도입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이번 액침냉각 도입을 통해 상당한 수준의 에너지 비용 절감이 기대된다"며 "앞으로 해당 기술 보급 확산을 통해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도 이바지하겠다"고 밝혔다.

안하늘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