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래섬 왜가리에게 배운 삶의 지혜

입력
2023.11.13 04:30
25면
구독

서울 서초구 반포 한강공원 서래섬에 조성된 낚시터에서 서해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생겨난 갯벌에서 먹이를 기다리는 왜가리 한 마리가 아름답게 보인다. 왕태석 선임기자

서울 서초구 반포 한강공원 서래섬에 조성된 낚시터에서 서해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생겨난 갯벌에서 먹이를 기다리는 왜가리 한 마리가 아름답게 보인다. 왕태석 선임기자

서울 서초구 반포 한강공원 서래섬 주변을 산책하는데 전에 보지 못했던 갯벌이 보였다. 서해 바닷가도 아닌데 한강에도 갯벌이 있다니 마냥 신기했다. 알고 보니 서해 바닷물의 영향으로 조수 간만의 차이가 심할 때는 가끔 생겨난다고 한다. 한강에도 썰물과 밀물 현상이 반복된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한강은 서해와 상류 지역 댐들의 영향권 안에 있다. 그래서 비가 오지 않아도 댐에서 다량의 물이 방류되면 강물이 공원으로 범람하는 경우도 있다.

서울 서초구 반포 한강공원 서래섬에 조성된 낚시터에 서해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갯벌이 생겨났다.

서울 서초구 반포 한강공원 서래섬에 조성된 낚시터에 서해 바닷물이 빠져나가면서 갯벌이 생겨났다.

노을빛이 쏟아질 무렵 한강에서 갯벌을 구경하니 제법 운치가 있었다. 주변을 두리번거리며 풍경을 즐기다 꼼짝도 하지 않고 서 있는 왜가리 한 마리에게 시선이 멈췄다. 언제 날아갈지 궁금해 한참 동안 왜가리를 지켜봤지만, 그 새는 주위에 어둠이 완전히 내려앉을 때까지 그 자리에 머물렀다. 갑자기 “대체 왜 저렇게 힘들게 서 있는 거지?” 의문이 생겼다. 아마도 배가 고파 물이 들어오는 걸 하염없이 기다리는 것 같았다. 물이 들어와야 물고기가 찾아오니 그 순간을 놓칠세라 시선을 다른 곳에 두지 않나 보다. 목표를 이룰 때까지 한눈팔지 않고 집중하는 왜가리의 모습에 경이로움마저 느껴졌다.

해가 저물어 가면서 노을이 번지는 물가에서 먹이를 기다리는 왜가리의 모습이 아름답게 보인다.

해가 저물어 가면서 노을이 번지는 물가에서 먹이를 기다리는 왜가리의 모습이 아름답게 보인다.

올해 달력도 이제 두 장밖에 남지 않았다. 세월은 쏜살같이 지나가는데 신년에 세웠던 계획들은 끝이 안 보여 마음만 급해진다. 하지만 서래섬 왜가리처럼 꿋꿋이 자리를 지키며 찰나의 기회를 기다려야겠다. 희망이 이루어지는 순간은 불현듯 도래할지도 모르니까 말이다.

갯벌이 생긴 한강공원에서 먹이를 기다리는 왜가리 한 마리가 인기척에 놀라 힘차게 날아오르고 있다.

갯벌이 생긴 한강공원에서 먹이를 기다리는 왜가리 한 마리가 인기척에 놀라 힘차게 날아오르고 있다.


왕태석 선임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