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금리 오르는데... 가계대출자 4명 중 1명은 '다중채무자'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가계대출 이용자 중 다중채무자 비율이 통계 작성 이후 최대 규모로 늘어났다. 가계가 빚을 갚지 못할(부실) 위험이 그만큼 커지고 있다는 뜻이다.
16일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한국은행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2분기 다중채무자 수는 448만 명으로 집계됐다. 전분기 대비 2만 명 증가했는데, 한은이 가계부채 데이터베이스(DB) 통계를 작성한 2012년 1분기 이후 최대다. 전체 가계대출자(1,978만 명) 중 다중채무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22.6%로 역시 통계 작성 이후 11년 3개월 만에 가장 많았다. 이들이 대출받은 돈은 전체 가계대출 잔액(1,845조7,000억 원)의 31%인 572조4,000억 원이다.
다중채무자는 3곳 이상의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이용 중인 자로, 고금리 시대 '뇌관'으로 지목된다. 빚으로 빚을 돌려 막아야 해, 상환 부담이 상대적으로 더 크기 때문이다. 이번 통계에서도 원리금 상환액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중(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보면, 다중채무자는 61.5%로 전체 평균(39.9%)의 1.5배에 달했다. 연체율도 4분기 연속 증가해 3년 3개월 전 수준(1.4%)으로 올라섰다.
취약차주의 상황은 더 심각하다. 취약차주는 다중채무자이면서 저소득(소득 하위 30%) 또는 저신용(신용점수 664점 이하)인 대출자다. 2분기 취약차주 수는 126만 명으로 그 비중(가계대출자의 6.4%)이 1년 6개월 만에 처음 상승했고, DSR도 9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67.1%를 기록했다. 최소생계비를 제외한 소득 전액을 원리금 상환에 사용할 것으로 추산되는 DSR 70% 문턱에 다다른 것이다. 이미 취약차주의 37.8%가 DSR 70%를 넘겼고, 이들이 갚아야 할 돈은 취약차주 대출액(95조2,000억 원)의 68.2%(64조9,000억 원)에 이른다.
한은은 가계대출 부실이 비은행 금융기관 리스크로 전이될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경고해 왔다. 취약차주 대출이 비은행 금융기관에 집중돼 있기 때문이다. 6월 펴낸 '금융안정 보고서'에서 한은은 "취약차주 대출이 확대되면서 저축은행 신용대출 중 회수가 불가능할 것으로 추정되는 고정이하여신비율이 2021년 3분기부터 증가세를 지속, 올해 1분기말 6.8%까지 상승했다"고 밝혔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