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자위대 주둔 자체가 대중 억지력"... 요새화하는 난세이제도

입력
2023.10.24 10:00
수정
2023.10.24 17:47
4면
구독

<2회>태평양 패권회복 꿈꾸다

이노우에 유이치로(오른쪽) 일본 육상자위대 1등육좌가 지난 15일 육상자위대 이시가키 주둔지에서 마이클 힉스 미 해병대 대령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미 국방영상정보배포서비스 제공

이노우에 유이치로(오른쪽) 일본 육상자위대 1등육좌가 지난 15일 육상자위대 이시가키 주둔지에서 마이클 힉스 미 해병대 대령과 만나 악수하고 있다. 미 국방영상정보배포서비스 제공


편집자주

인도태평양은 전 세계 인구의 65%, 국내총생산(GDP)의 60%를 차지한다. 이 드넓은 바다가 달아오르고 있다. 미국과 일본이 앞장선 중국 견제에 각국이 동참하면서 치열한 외교전과 일촉즉발의 군사행동이 한창이다. 윤석열 정부도 인도태평양 전략을 외교 독트린으로 내세워 대열에 가세했다. 한국일보는 대만 미국 일본 호주 인도네시아 현장을 찾아 저마다의 인도태평양 전략을 살펴보고 4회에 걸쳐 연재한다.

"난세이제도 군사 주둔지 자체가 중국에 대한 억지력이다."

이노우에 유이치로 이시가키섬 육상자위대 지휘관(1등 육좌·우리의 대령)

대만에서 120km가량 떨어진 난세이제도. 대만해협에 이어 미중 갈등의 최전선으로 부각되는 곳이다. 일본은 유사시 대만에 개입할 미국을 후방에서 지원하기 위해 이들 지역의 군사기지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일본은 최근 아마미오섬, 오키나와 본섬, 미야코섬에 이어 이시가키섬까지 난세이제도에 잇따라 미사일 부대를 배치하며 중국을 압박하고 있다. 특히 이들 미사일은 방어가 아닌 공격용이다. 지대함미사일을 집중 배치했는데, 사거리가 200㎞를 웃도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만을 침공하려는 중국 해군 함정을 타격할 수 있다.

일본은 사거리를 900km 이상으로 개량한 지대함미사일도 2026년부터 본격 배치할 계획이다. 이 경우 아마미오섬에서 발사한 미사일은 상하이 부근의 함선까지 겨냥할 수 있어 중국으로서는 상당히 껄끄럽다.

일본의 노림수는 규슈에서 대만 동쪽까지 이어져 있는 난세이제도의 지리적 특성에서 비롯된다. 중국 해군이 대륙에서 서태평양으로 진출하려면 오키나와 본섬과 미야코섬 사이를 돌파해야 한다. 배치된 미사일 부대를 통해 이들의 움직임을 차단하거나 지체시키기에 안성맞춤이다.

일본은 한 걸음 더 나아가 미사일의 '운용 플랫폼'도 확장하고 있다. 지상 발사만이 아니라 비행기와 함선을 통한 공중과 해상에서의 발사가 가능하도록 미사일 개량에 나설 방침이다.

방어 능력도 한 단계 높인다. 난세이제도를 향한 공격에 대비해 무인차 연구·개발 착수에 들어갔다. 요미우리신문 등 일본 매체들은 지난해 12월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방위성이 오키나와와 규슈 지역을 중심으로 2028회계연도(2028년 4월~2029년 3월 말)까지 육상자위대와 해상자위대 사령부 4곳을 지하 요새화한다는 계획을 전했다. 항공자위대 기지 5곳은 2029회계연도까지 전자기펄스(EMP) 공격에 맞선 성능을 갖출 계획이다.

지역 인프라 확장에도 투자에 아낌이 없다. 아울러 오키나와 육상자위대를 여단에서 사단으로 격상했다. 난세이제도에 배치한 수송기와 공중급유기, 수송선 등도 확충할 계획이다. 이외에 요나구니섬과 이시가키섬 등의 공항 활주로를 자위대 F-35 전투기가 이·착륙할 수 있도록 연장했고, 자위대 호위함이 접안할 수 있는 시설도 갖추기로 했다.

난세이제도 안보 논란. 그래픽=송정근 기자

난세이제도 안보 논란. 그래픽=송정근 기자


일본은 이처럼 중국에 맞선 국방력 강화를 공식화했다. 중장기 안보정책을 담은 3대 문서를 지난해 12월 개정해 '유사시 적 국가를 타격할 수 있는 반격 능력 보유'에 초점을 맞췄다. 문서에는 특히 동·남중국해에서 군사적 긴장을 고조시키는 중국에 대해 "지금까지 없었던 최대 전략적 도전"이라고 적시했다.

지난 9월 본보가 일본 도쿄에서 만난 방위성 관계자는 "최근 중국의 대만 포위작전에서 난세이제도의 안보 공백이 확인됐다"며 "난세이제도 기지화는 만에 하나 발생할 수 있는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일련의 활동이 '대만 유사시'에 대비하기 위한 것인지를 묻자 "특정 상황을 염두에 두거나 반드시 그렇다고 생각하고 있지는 않지만, 현재 인도태평양의 엄중한 정세를 고려해 활동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기사는 정부광고 수수료로 조성된 언론진흥기금의 지원을 받았습니다.





도쿄= 문재연 기자
김진욱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