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실명 주범' 황반변성 생기면 골절 위험도 덩달아 커져

입력
2023.10.11 20:21
구독

[건강의 최고] 삼성서울병원 연구팀, 건강검진 받은 50세 이상 389만4,702명 조사 결과

황반변성 환자가 본 시야. 한국일보 자료사진

황반변성 환자가 본 시야. 한국일보 자료사진

나이 관련 황반변성(AMD·노인성 황반변성)에 노출되면 골절 위험도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나이 관련 황반변성은 노화 과정에서 망막 황반부(yellow spot)에 변성이 생기면서 시력이 떨어지는 질환이다. 노인 실명의 주원인이다.

50세가 넘으면 나이 관련 황반변성이 나타나는데 초점이 맞지 않는 노안과 달리 안경을 착용해도 중심 시력이 떨어지거나 물체가 찌그러져 보이는 증상이 생긴다.

삼성서울병원 함돈일·임동희·윤제문 안과 교수, 신동욱 가정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2009년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을 받은 50세 이상 389만4,702명을 코호트 연구에 포함해 2019년까지 추적 관찰한 결과다.

최초 검진 당시 나이 관련 황반변성을 진단받은 사람은 4만7,266명(1.21%)으로, 연구팀은 나이 관련 황반변성이 골절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했다.

그 결과, 나이 관련 황반변성 그룹의 경우 1,000인 년당 20.6건의 골절이 발생했다. 반면 대조군에서는 12.6건으로 차이를 보였다.

골절 발생의 상대 위험도 나이 관련 황반변성 그룹이 9% 높았다. 나이와 성별을 비롯해 골절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들을 모두 보정해 나온 결과다.

골절 유형별로 살펴봐도 마찬가지였다. 노년기 삶을 위협하는 치명적 부상인 고관절 골절·척추 골절 등 종류를 가리지 않고 모두 나이 관련 황반변성 그룹이 발생 건수가 더 많았고, 상대 위험도 높았다.

특히 이러한 경향은 나이 관련 황반변성으로 시각장애가 겹쳤을 때 더욱 두드러졌다. 대조군과 비교해 나이 관련 황반변성이 있더라도 시각장애가 없으면 골절 위험이 8% 증가했지만, 시각장애가 동반한 경우엔 17%로 껑충 뛰었다.

연구팀은 “나이 관련 황반변성으로 인한 시력 저하 같은 장애가 골절의 직접적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한 운동 부족 등으로 균형감을 상실해 넘어지기 쉬운 탓”이라고 분석했다.

나이 관련 황반변성이 비타민 D 부족과 관련 있는 만큼 비타민 D 부족이 골다공증 발병으로 이어져 골절에 더욱 취약해졌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윤제문 교수는 “나이 관련 황반변성이 의심되면 골절 위험 예방도 함께 시작해야 한다”며 “노년기에는 한 번 넘어져 뼈가 부러지면 회복이 더디고, 장애도 생길 수 있는 만큼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한다”고 했다.

함돈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나이 관련 황반변성이 골절에 실질적 위험 요인이라는 것을 밝혔을 뿐만 아니라 골다공증과 관련성도 규명할 토대를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안과 관련 국제 학술지 ‘아이(Eye, IF=4.456)’ 최근 호에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