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심고 베고 또 심고... "일본의 산은 나무를 생산하는 들판"

입력
2023.09.20 08:00
11면
구독

<상> 선진임업현장 日미야자키 르포
곳곳의 산 얼룩덜룩... "흡사 바둑판"
적극적 목재 수확 이용 '자급률 42%'
비결은 혈관같은 임도 '한국의 8배'

일본 이야자키현 내 한 국유립에서 목재 수확, 가공 장비를 장착한 굴착기(프로세서)가 삼나무을 집어올려 가지치기를 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자르고 있다.

일본 이야자키현 내 한 국유립에서 목재 수확, 가공 장비를 장착한 굴착기(프로세서)가 삼나무을 집어올려 가지치기를 하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자르고 있다.

6일 일본 규슈 남동쪽 미야자키시에서 남서쪽으로 15km가량 떨어진 한 국유림을 찾았다. 대로를 벗어나 4륜 자동차를 타고 숲 사이로 난 임도(林道)와 임시 작업로를 5분 남짓 오르자, 너른 터가 나타났다. 규슈에서 유명한 삼(스기)나무 벌채 현장이다. 한쪽엔 수확한 목재를 산 아래로 실어낼 특수차량(포워더)들이 대기하고, 그 옆에선 티라노사우루스 주둥이를 닮은 장치를 단 굴착기(프로세서) 서너 대가 부지런히 움직이고 있었다. 프로세서는 나무젓가락 다발을 풀어놓은 듯, 와르르 넘어져 있는 길쭉길쭉한 삼나무들을 하나씩 물어 올려 착착 처리하는 중이었다. 앞서 나무 베는 장비가 훑고 지나간 터다.

‘드르르르륵.’ 나무를 가로로 집어 물은 프로세서가 목재를 왼쪽으로 밀어내면서 가지치기를 하더니, 이내 숨겨놓았던 기계톱을 아래로 끄집어내려 싹둑 잘랐다. ‘위이이잉.’ 길이는 일정했다. 50년 동안 자랐다는, 길이 20m가 족히 넘는 삼나무 한 그루는 1분도 안 돼 AㆍB등급의 목재, 가지가 많은 상층부는 등급 외 목재 등으로 해체돼 옆에 쌓였다.

일본의 산은 목재생산 ‘들판’

주식회사 마츠오카임산의 마스다 스구루 총무팀장은 “정부로부터 작년에 5,500만엔(약 5억 원)에 수확권을 낙찰받았다”며 “임야 2필지 12.87㏊ 면적의 1만6,200그루가 수확 대상”이라고 말했다. 이를 부피로 환산하면 1만275㎥에 이른다. ㎥당 산지 가격(1만6,100엔)을 감안하면 약 15억 원어치에 해당하는 목재다. 수확은 11월까지 이어지며, 베어낸 자리에는 내년 봄 어린 삼나무가 식재된다. 미야자키의 산림면적 비율은 76%로 일본 전체 평균(68%)보다 높고, 이 같은 인공림의 비율(57%)도 일본 평균(41%)보다 높은 대표적인 임업지역이다.

미야자키 산림조합 관계자가 목재 수확 현장에서 벌채 계획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해당 지자체는 매년 수확할 수 있는 임야 면적을 할당하고 재조림 과정도 감독해 관내 목재 양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한다. 이 같은 과정을 잘 아는 지역 주민들은 이 같은 벌목 현장에 거부감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일본에서 산은 목재를 생산하는 들판으로 자리를 잡았다.

미야자키 산림조합 관계자가 목재 수확 현장에서 벌채 계획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해당 지자체는 매년 수확할 수 있는 임야 면적을 할당하고 재조림 과정도 감독해 관내 목재 양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한다. 이 같은 과정을 잘 아는 지역 주민들은 이 같은 벌목 현장에 거부감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 일본에서 산은 목재를 생산하는 들판으로 자리를 잡았다.

목재 수확 현장을 함께 찾은 미야자키대 산림환경학과의 사쿠라이 린 교수는 “들판에 벼를 심고 수확한 뒤 이듬해 또 심고 수확하는 것처럼, 산에 나무를 심고, 벌기령(벨 수 있는 나이)에 베어내는 일본의 산은 목재를 생산하는 일종의 들판”이라며 “일본 내 목재수요 2,300만㎥ 중 절반 가까운 42%의 목재를 자급하는 비결”이라고 말했다. 미야자키현 자급률은 100%다. 사쿠라이 교수에 따르면 이 같이 목재를 수확해도 조림 기술 등의 발전으로 일본의 목재 양은 늘고 있다.

일본의 목재 자급률은 독일(53%), 미국(71%) 등과 비교하면 낮다. 그러나 일본과 비슷한 산림면적 비율(63%)을 가진 한국 자급율(15%)의 세 배에 가깝다. 산림청 관계자는 “올해 50주년을 맞은 국토녹화 사업으로 산이 푸르게 바뀌는 등 한국도 이제는 베어내 쓸 수 있는 목재가 제법 된다”며 “그러나 현실적인 여러 요인으로 일본처럼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과 일본의 임업 주요 현황

한국과 일본의 임업 주요 현황


한국의 산, 푸르게 바뀌었지만...

국내 임업단체와 산림청에 따르면 가장 큰 문제는 목재를 수확하는 일(벌목)에 대한 국민 인식이다. ‘우리강산 푸르게 푸르게’로 대표되는 대대적인 조림사업 결과, 녹화에는 큰 성공을 거뒀지만, 성장한 그 목재의 활용과 그 필요성까지 공감하는 국민이 많지 않아 벌목에 거부감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비닐이나 플라스틱으로 된 제품이나 용기가 나무나 종이로 바뀌면 사람들은 ‘친환경적’이라고 하면서도 정작 그 재료가 되는 나무를 수확하는 장면엔 ‘불법’ 딱지를 갖다 붙이는 게 현실”이라며 “목재 자급률을 높이고 탄소 중립 실천을 위해서라도 일본처럼 인식 전환과 적극적인 목재 이용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미야자키 현지에서 만난 20대(대학생)와 40대(직장인) 등 지역 주민 중 벌채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시하는 경우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60, 70년대 달 표면 같던 한국 산은 나무 양이 크게 늘었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2021년 기준 1㏊당 임목 축적량은 165㎥에 이른다. 1972년(11㎥/㏊)과 비교하면 무려 15배 많아졌다. 산림청 관계자는 “이렇게 나무 양이 많아졌고, 쓸만한 나무는 이용하고자 해도 수확·운반 장비의 접근이 어렵다보니 비용이 높다”며 “보기에는 좋아도 경제적으로는 큰 도움이 안 되는 셈”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한국의 목재 수입액은 7조 원이 넘는다.

산골마을 모로츠카의 한 전망대에서 내려다 본 마을의 모습. 대부분 인공림으로 벌령기가 오면 수확하고 재조림 하는 과정을 거치서면 산이 얼룩덜둑해 보인다. 그렇지만 끊임없이 목재를 생산해내는 숲으로, 이 마을엔 최근 도시 지역의 청년들과 관광객까지 모여들기 시작하면서 지속가능한 마을로 자리를 잡고 있다.

산골마을 모로츠카의 한 전망대에서 내려다 본 마을의 모습. 대부분 인공림으로 벌령기가 오면 수확하고 재조림 하는 과정을 거치서면 산이 얼룩덜둑해 보인다. 그렇지만 끊임없이 목재를 생산해내는 숲으로, 이 마을엔 최근 도시 지역의 청년들과 관광객까지 모여들기 시작하면서 지속가능한 마을로 자리를 잡고 있다.


사람 위해 일하는 산, 비결은 ‘혈관’

일본 규슈 지역의 남부 미야자키에서 북부 후쿠오카에 이르는 방대한 산림은 한국의 그것과 분명 달랐다. 미야자키시에서 북쪽으로 직선거리 80㎞가량 떨어진 산골 마을 모로츠카 마을의 전망대에 올라서자 눈 앞에 펼쳐진 산은 거대한 바둑판 같았다. 한국의 산이 단일색의 수묵화라면 이곳의 산림은 다양한 색깔과 무늬로 채워졌다.

모로츠카읍의 마쓰무라 키미오 건설과장은 “삼나무 특성상 50년가량 키운 뒤 수확하는데, 일정 면적을 매년 수확하고, 그 자리를 순차적으로 재조림하면서 나타난 시차 작업의 흔적”이라고 말했다. 처음엔 흉측하게 보여도 그렇게 수확한 나무로 마을 주민들이 생활을 영위하고, 최근엔 도시 청년들까지 이 산골 마을을 찾아 자리를 잡는 등 소멸 위기 극복에도 기여한다는 이야기에 ‘바둑판 산’은 달리 보였다. 모로츠카 관내 산림 면적은 1만7,821㏊다.

사쿠라이 교수는 “주민 1,400여 명이 2만㏊ 가까운 산을 누비며 일할 수 있는 건 차량과 각종 기계 장비가 이동할 수 있도록 임도가 사람의 혈관처럼 뻗어 있는 덕분"이라며 "최근엔 버섯 등 다양한 임산물 생산과 마을 체험 등 관광산업까지 발달하고 있다”고 말했다. 모로츠카 마을의 임도 밀도는 64m/ha로, 일본 평균(23.5m/ha) 두 배 이상이다. 우리나라 임도 밀도는 3.6m/ha에 그친다.

일본 미야자키현 도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목재수송 차량. 미야자키의 산림면적 비율은 76%로, 이중 절반 이상(57%)은 목재를 생산해내는 인공림이다.

일본 미야자키현 도로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목재수송 차량. 미야자키의 산림면적 비율은 76%로, 이중 절반 이상(57%)은 목재를 생산해내는 인공림이다.


미야자키=글·사진 정민승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