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전 대통령, '홍범도 흉상 이전' 논란에 "대통령실이 나서서 정리해야"

입력
2023.09.03 18:00
5면
구독

홍범도 흉상 이전 재차 철회 촉구

문재인 전 대통령이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회관에서 열린 섬진강 수해 극복 3주년 생명 위령제에 참석하기 위해 회관에 들어서고 있다. 구례=뉴스1

문재인 전 대통령이 8일 오전 전남 구례군 구례읍 양정마을회관에서 열린 섬진강 수해 극복 3주년 생명 위령제에 참석하기 위해 회관에 들어서고 있다. 구례=뉴스1

문재인 전 대통령은 육군사관학교에 설치된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 논란과 관련해 "대통령실이 나서서 논란을 정리하라"고 이전 계획 철회를 재차 촉구했다.

문 전 대통령은 3일 페이스북을 통해 "육사 차원에서 논의된 일이라 하더라도 이 정도 논란이 커졌으면 대통령실이 나서서 논란을 정리하는 것이 옳을 것"이라며 "흉상 철거 계획을 철회해 역사와 선열에 부끄럽지 않게 해 주기 바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흉상 철거는 역사를 왜곡하고 국군과 육사의 정통성과 정체성을 스스로 훼손하는 처사"라고 덧붙였다. 문 전 대통령은 지난달 27일에도 "항일무장독립운동 영웅들의 흉상 철거 움직임에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부디 숙고해 주기 바란다"고 촉구한 바 있다.

문 전 대통령은 정부가 흉상 이전의 근거로 제시한 홍 장군의 공산당 가입 이력에 대해서도 '불가피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문 전 대통령은 "일제의 탄압으로 만주에서 연해주로 쫓겨나 소련 땅에 의탁하지 않을 수 없었던 독립군 부대의 간난신고는 무장독립투쟁을 계속해 나가려는 불굴 의지의 표상"이라며 "그 시기 불가피했던 소련과의 협력을 이유로 독립전쟁의 위업을 폄훼하는 것은 우리 스스로 남루하고 편협한 나라로 떨어지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홍 장군, 뼛속까지 빨간 공산당원"

반면 국민의힘에선 홍 장군 흉상 이전을 주장하는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이철규 사무총장은 페이스북에서 "볼셰비즘을 신봉하고 동족을 향하여서도 공산주의자가 아니면 적으로 돌렸다면, 자유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 존재하는 국군의 사표로 삼을 수는 없다"고 했다. 국방위원회 여당 간사인 신원식 의원도 "홍범도 장군의 1921년 대(對)군중 발표와 사망 당시 부고장은 그가 '무늬만 공산당원'이 아닌 '뼛속까지 빨간 공산당원'이었음을 증명한다"고 주장했다.

장예찬 청년최고위원은 홍 장군 흉상 이전 철회를 촉구한 문 전 대통령을 겨냥해 "전직 대통령이 현실 정치에 개입해 분란을 일으키기 전에, 하루가 멀다 하고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는 북한을 보며 뭐라도 한마디 해보라"라고 지적했다.

김정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