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심장 근육 두꺼운 ‘비후성 심근증’, 심혈관 합병증 위험 정확히 예측할 수 있게 돼

입력
2023.08.31 09:12
구독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비후성(肥厚性) 심근증 환자의 심혈관계 질환 합병증 위험을 더 정확히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제시됐다.

비후성 심근증은 유전적으로 심장 근육이 두꺼워지면서 심장 수축력이 떨어지는 희소 난치성 질환이다. 국내에서는 비후성 심근병 환자가 100만 명 정도로 추정되지만, 중상은 환자마다 천차만별이지만 돌연사할 위험이 있다.

기존 진료 지침은 심장 초음파로 측정할 때 ‘좌심실 박출률(Left Ventricular Ejection Fraction·LVEF)’이 50% 이상이면 정상, 50% 이하이면 ‘말기 심부전(心不全·heart failure)’이라고 정의한다.

김형관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황인창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 최유정 고려대 구로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은 “LVEF가 50~60%인 환자의 ‘좌심실종축변형률(LV-GLS)’ 절대값이 10.5% 이하라면 10.5%를 초과하는 환자보다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이 2.5배 증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좌심실 박출률(搏出率·LVEF)은 좌심실로 들어온 혈류량 대비 대동맥으로 빠져나간 혈류량 비율을 뜻한다. 좌심실 수축 기능에 따라 △보존형(≥60%) △저-정상형(50~60%) △감소형(<50%) 등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한다.

연구팀은 저(低)-정상형 LVEF 50~60% 환자 349명을 중앙값 4.1년간 추적 관찰한 뒤, 심혈관계 합병증 위험을 세부 분석하기 위해 또 다른 심장 초음파 지표인 ‘좌심실종축변형률(LV-GLS)’과의 연관성을 분석했다.

LV-GLS는 심장 수축 시 좌심실 길이가 세로축으로 줄어든 정도를 뜻하며, 절대값이 클수록 수축력이 강하다고 평가한다. LVEF보다 심실 수축 기능을 민감하고 빠르게 감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서울대병원 제공

서울대병원 제공

분석 결과, 전체의 7.4%(26명)가 심장 돌연사를 포함한 심혈관 질환으로 인해 사망했다. 심혈관계 사망 위험 기준이 되는 LV-GLS 수치의 절단점(cutoff)은 절대값 10.5%였다.

LV-GLS 절대값이 10.5%를 초과할 때, 이 값이 증가할수록 심혈관계 사망 발생 위험이 낮아지는 독립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LV-GLS로 평가한 수축력 저하군은 보존군보다 돌연사를 포함한 심혈관계 사망 위험이 2.54배 높았다.

추가로 LVEF 50~60% 환자의 △돌연사 및 돌연사 등가 사건 △심혈관 질환 사망 △모든 사망 이상 3가지 변수 각각의 발생 위험을 평가한 결과, LV-GLS로 평가한 저하군이 보존군보다 모든 변수의 발생 위험이 높았다.

이 결과는 비후성 심근증 환자 사망을 예측하고 예후(치료 경과)를 평가할 때 LVEF 50~60%인 저-정상형 환자들에게 있어서 LV-GLS 수치의 유용성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김형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비교적 정상 심근 기능을 가졌다고 분류되지만 심부전 및 심혈관 질환 사망 위험이 높은 저-정상형(LVEF 50~60%) 비후성 심근증 환자 중에서도 심혈관계 사망 고위험군을 선별할 수 있는 지표를 확인해 의미가 크다”며 “이 결과가 비후성 심근증 환자의 개인별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