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심정지 겪은 뒤 우울증 관리 안 하면 사망률 44% 더 높아

입력
2023.08.11 18:50
구독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심근경색·협심증 등으로 심정지를 겪은 뒤 우울증 진단을 받은 환자의 장기 사망률은 우울증이 없는 환자보다 40%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오재훈·조용일·이준철 한양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연구팀이 국민건강보험공단 빅데이터를 통해 2005년 1월~2015년 12월 ‘병원 밖 심정지(Out-of-Hospital Cardiac Arrest)’로 입원한 환자 중 1년 이상 생존한 환자 2,373명을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다.

환자들의 평균 연령은 53세였으며, 78%가 남성이었는데 이 중 397명(16.7%)의 환자가 우울증이나 불안으로 진단됐다.

이들을 그렇지 않은 환자들과 비교한 결과 우울증이나 불안으로 진단된 환자들의 추적 기간 사망률이 41% 이상 높았다. 특히 우울증을 진단받은 환자군의 사망률은 44% 더 높았다.

병원 밖 심정지 환자 발생률은 10만 명당 84명 정도로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이지만, 소생한 환자들은 좋은 예후와 장기적인 생존율을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병원 밖 심정지 환자는 초기에 무산소증과 허혈-재관류 손상 등으로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하고, 이는 신체·인지·사회심리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졌다.

기존 연구에서도 병원 밖 심정지 환자들의 우울증 및 불안의 발생률과 정신장애로 인한 삶의 질 변화에 대한 결과들이 보고된 바 있다.

오재훈 교수는 “병원 밖 심정지 환자들은 저산소성 뇌 손상이나 심부전 등의 합병증으로 신체적인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고, 회복 후에 우울증이나 불안장애가 생길 수도 있다”고 했다.

오 교수는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환자들이 급성기 심정지 치료 이후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통한 우울이나 불안 등의 정확한 진단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진단된 환자들은 정기적이고 장기적인 추적 관찰로 사망률을 낮추는 데 활용되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자마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에 실렸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