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덕 뚜벅이 마을 성공 비결은 '재미'와 '관계'

입력
2023.07.22 10:00
14면
구독

<'메이드인피플' 설동원 대표 인터뷰>
해외 유명 트레킹서 아이디어 얻어
뚜벅이 마을 전 프로그램 진두지휘

편집자주

지역 소멸위기 극복 장면, '지역 소극장.' 기발한 아이디어와 정책으로 소멸 위기를 넘고 있는 우리 지역 이야기를 격주 토요일 상영합니다.

경북 영덕군의 청년정착 지원사업 '뚜벅이마을'을 이끌고 있는 메이드인피플의 설동원 대표가 16일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공유오피스 '다오소'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영덕=김정혜 기자

경북 영덕군의 청년정착 지원사업 '뚜벅이마을'을 이끌고 있는 메이드인피플의 설동원 대표가 16일 영덕군 영해면 성내리 공유오피스 '다오소'에서 한국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영덕=김정혜 기자

기획사 메이드인피플의 설동원(31) 대표는 경북 영덕군의 청년 정착 사업 ‘뚜벅이 마을’을 진두지휘하고 있다. 전자공학을 전공했지만, 여행과 기획하는 일을 좋아하던 그는 첫 만남 때부터 죽이 척척 맞은 대학 후배 장명석(30)대표와 의기투합해 회사를 차렸다. 창업 초기 한국 문화를 경험하고 싶어하는 외국인들을 데리고 전국 곳곳을 누비며 농촌이나 고택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했던 설 대표는 우연히 한 자치단체로부터 ‘청년마을을 기획해 줄 수 있느냐’는 제안을 받았다. 첫 사업이 꽤 괜찮은 성과를 냈고, 이러한 소문을 들은 영덕군이 설 대표에게 손을 내밀었다.

설동원 대표는 “걷는 걸 아주 좋아하는데 블루로드라는 멋진 트레킹 코스가 있다는 사실에 착안해 청년을 끌어들이는 주제로 잡았다”며 “전 세계에서 한해 40만~50만 명이 찾는다는 800㎞의 산티아고 순례길 등에서 얻은 경험을 살려 ‘뚜벅이 마을’로 이름 짓고 프로그램을 짰다”고 말했다.

영해면이 뚜벅이 마을의 거점이 된 것도 설 대표의 결정이었다. 그는 100년 전의 건물이 오롯이남아 있는 영해면에 근대문화유산을 바탕으로 마을 전체를 새단장하는 도시재생 사업이 추진된다는 말을 듣고 단박에 청년마을의 본거지로 삼았다.

설 대표는 “처음 영해를 밟았을 때 개화기 시대를 재현해 놓은 영화 촬영장에 온 듯한 착각이 들었다”며 “도시재생뉴딜 사업이 진행되면 청년들이 다양하고 신선한 아이디어를 낼 수 있고, 참여하는 과정에 주민들과 돈독해 질 수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메이드인피플이 영덕군과 함께 지난 2021년부터 전국의 청년을 대상으로 펼치는 뚜벅이 마을 6주간 살기와 3박 4일간 살아보기 프로그램은 매번 5, 6대의 1이라는 높은 경쟁률을 나타내고 있다. 설 대표는 인기 비결로 ‘재미’와 ‘관계’를 꼽았다.

그는 “청년들은 재미가 없으면 관심을 갖지 않기 때문에 걷기 외에도 서핑이나 캠핑 등 20, 30대가 해보고 싶어하는 일정으로 구상했다”며 “다음으로 영덕이 청년들의 또 다른 고향이 될 수 있게 지역주민들과 이웃이 되고 먼저 정착한 청년들과 끈끈한 관계를 맺을 수 있게 연고를 만드는데 중점을 뒀다”고 강조했다.

뚜벅이 마을을 운영하는데 어떠한 간섭이나 강요 없이 청년 자립을 지원해 준 영덕군도 큰 힘이 됐다고 한다. 설 대표는 “걷는 것도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라는 뚜벅이 마을의 신조처럼 당장은 큰 성과가 없어 보여도 분명 어제보다 한 걸음 더 나간 영덕이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영덕= 김정혜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