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소형모듈원자로(SMR)의 현황과 한국의 당면과제

입력
2023.07.11 04:30
25면
'민관 합동 소형모듈원전(SMR) 얼라이언스' 출범식이 4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렸다. 연합뉴스

'민관 합동 소형모듈원전(SMR) 얼라이언스' 출범식이 4일 서울 중구 웨스틴조선호텔에서 열렸다. 연합뉴스

최근 에너지 분야의 핫이슈는 소형모듈원자로(SMR)이다. 비단 에너지 분야에서만 아니라 정치 경제 분야에서도 핫이슈로 떠오르며, 이와 관련된 주식시장 역시 들썩이고 있다. 도대체 SMR이 무엇이길래 이렇게 온갖 관심이 쏟아지는 것일까.

전 세계 에너지 시장에 떠오르는 샛별, SMR(Small Modular Reactor), 즉 소형모듈원자로란 발전용량이 300MW 정도로 기존 1,000~1,500MW인 대형원자로 대비 3분의 1~5분의 1밖에 안 되는 작고(Small), 공장에서 부품을 생산해 현장에서 조립(Modular), 건설할 수 있는 원자로(Reactor)를 일컫는다. 기존 대형원자로의 주요 기기들(가압기, 펌프, 증기발생기 등)과 냉각시스템을 하나의 용기에 통합해 제작하는 것이다. 따라서 대형원자로에 비해 건설기간이 짧고 비용도 절약되며, 수요지 인근에 건설할 수 있어 송전망 설치 문제로부터 비교적 자유롭다. 유연한 출력으로 재생에너지의 불안정한 출력을 보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강점으로, 2014년 영국 국립원자력연구소는 2035년 세계 SMR 시장규모가 390조~630조 원 규모로 확대될 것이라 예측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70개 모델이 개발 중으로, 2030년경부터 본격적으로 상용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다면 이러한 글로벌 에너지 시장 흐름에 우리나라의 대응은 무엇인가. 정부는 혁신형 SMR에 향후 8년간 4,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이다. 또 2028년 혁신형 SMR 표준설계인증 획득을 목표로 현재 2개의 SMR 모델을 개발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는 SMR 사업 전략을 수립하고 제도적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민관합동 SMR 얼라이언스를 출범시키는 등 정부가 중심이 되어 SMR 육성에 적극 나서고 있다.

다만, 세계 에너지 시장 흐름 변화에 주도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개발과 투자만으로는 부족하다. 에너지전략, 전력수급계획 등과 연계해 원자력 산업 및 정책 전반의 확대에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또한 무엇보다 개발 단계에서부터 SMR에 적합한 인허가 체계가 수립되어야 한다. 일관된 정책으로 원자력계의 노력을 성과로 이어갈 수 있는 정부 내 컨트롤타워 신설을 검토해 지속 가능한 개발을 추진해야 한다.

이제 한국은 원전 분야에서도 '선도자(first mover, pioneer)'로 도약할 것인지 아니면 '빠른 추격자(fast follower)'에 만족할 것인지 갈림길에 서 있다. 이 중요한 시점에서 정부는 SMR을 포함한 원자력을 에너지 분야 탄소중립의 핵심 수단으로 꾸준히 활용할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하고, 원자력 생태계의 복원, 인허가·정책지원의 강화, 구체적 상용화 계획 수립 추진 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김혜진 홍익대 기초과학과 교수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