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서민에 더 가혹한 먹거리 물가... 상승 체감도 3배 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물가 상승세가 저소득층에게 더 큰 부담이 될 것이란 우려가 현실이 됐다.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1분기 전체 가구 소득에서 세금과 연금 등을 뺀 뒤 마음대로 처분할 수 있는 돈을 뜻하는 ‘처분가능소득’은 약 400만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같은 기간 가공식품 물가의 상승률은 세 배에 가까운 9.9%에 달했다. 라면은 12.4%나 올라 1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고, 떡볶이 김밥 피자 소주 맥주 등도 모두 10% 이상 올랐다.
더구나 먹거리 물가 상승은 서민들에게 더 가혹했다. 소득 하위 20%(1분위)의 1분기 처분가능소득은 약 85만 원으로, 증가율이 1.3%에 불과했다. 처분가능소득 증가율 평균치의 3분의 1 수준이다. 저소득층이 실질적으로 느낀 먹거리 물가 상승 체감도는 3배나 더 컸던 셈이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물가 상승의 최대 피해자인 서민들의 삶은 점점 팍팍해지고 있다. 최근 석유류 가격 하락세로 소비자물가 상승세가 다소 주춤한 건 긍정적이지만 저소득층의 고통과 중산층의 한숨은 여전하다. 소득하위 20% 가구 세 집 중 두 집이 적자이고, 무료급식소를 찾는 이들의 발길이 늘어나는 건 심상찮은 대목이다.
거침없는 먹거리 물가 상승에 정부가 다각적 대책을 강구하는 건 당연하다. 국제 곡물 가격 변동을 틈탄 불공정 행위가 없는지 살피는 건 기본이고, 원재료 상승 때는 재빠르게 값을 올린 업체들이 국제 가격이 하락했을 땐 요지부동이란 지적도 확인할 필요가 있다. 다만 가격은 시장에 맡기는 게 원칙이고 부작용도 최소화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기업에만 모든 부담을 떠넘긴 채 뒷짐 지고 있는 게 능사는 아니다. 저소득층을 위한 예산과 대책이 제대로 쓰이고 작동하고 있는지 점검하는 것도 급하다. 한쪽에선 먹거리가 남아돌고 다른 한쪽에선 굶주리는 ‘미스매치’를 사회적으로 해소할 방안을 찾는 것도 숙제일 것이다. 먹거리 물가 부담으로 누구든 끼니 걱정하는 일이 없도록 주위를 살필 때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