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반도체 업체들 "수출, 중국 봉쇄 이전으로는 회복 어려워"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반도체 기업의 과반 이상이 "중국 봉쇄 이전으로 수출을 회복하기 어렵다"고 비관했다. 수요 악화, 주요국 자국 우선주의 정책 등 수출 여건의 구조적 변화 때문이다.
26일 한국은행 '지역경제보고서(6월)'에 수록된 '수출기업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반도체 업체 55.8%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봉쇄 이전 수준으로는 회복이 어렵다"고 응답했다. 업종 불문 조사대상 업체 56.3%가 "이전 수준을 이미 회복(2차전지, 조선, 자동차 및 부품, 철강)했거나, 올해 안에 회복할 것"으로 낙관한 것과 상반된 결과다. 한은은 지난달 11~31일 전국 205개 제조업체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글로벌 수요 악화', '자국 우선주의 정책(특히 미국·유럽의 반도체 지원법)', '높은 재고 수준으로 인한 단가 하락' 등이 반도체 수출 회복을 기대하지 않는 이유로 언급됐다. '중간·소비재 자급률 상승'처럼 중국 업체의 기술력 향상으로 위기의식을 느끼는 기업들도 있었다. 지난해 3월 봉쇄 이후 전년 대비 수출이 감소한 기업은 38.5%였는데, 정보기기(99.8%가 수출 감소), 디스플레이(96.3%), 휴대폰 및 부품(83.6%), 반도체(69.2%) 등 정보기술(IT) 분야의 타격이 더 크기도 했다.
자국 우선주의 정책은 반도체뿐만 아니라 일부 조선업체를 제외한 대다수 업종에서 수출 걸림돌로 지적됐다. 설문 대상 업체의 21.6%가 "이미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고 느꼈고, "3분기 이후 부정적 영향이 본격화할 것"이라는 답변은 41.4%로 훨씬 많았다.
업체들은 "현지 생산을 당장 늘리기 어렵다"(67.3%)는 점이 가장 난감하다고 했다. 반도체 기업 대다수(66.2%)도 같은 고충을 토로하며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 내(85.5%) 자국 우선주의의 부정적 영향이 본격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대기업을 중심으로 기업 12.1%가 현재 주요국의 자국 우선주의 정책에 대비하고 있다고 답했다. 특히 자동차 및 부품, 철강, 2차전지 업종이 현지 생산을 확대하거나 탄소저감기술을 도입해 자국 우선주의에 이미 대응 중이라고 밝혔다. 반도체 기업들은 67.6%가 "현지 생산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대응 계획을 밝혔으나 나머지(31.4%)는 "대비하고 싶어도 마땅한 수단이 없다"고 곤란해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