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물은 그냥 나물이다

입력
2023.06.24 04:30
22면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세상에서 경험하지 않고 바로 이해되는 것은 별로 없다. 먹거리도 그중 하나이다. 음식에 대한 시각과 후각 정보는 그 음식에 대해 느꼈던 감정까지 불러낸다고 한다. 그러면 태어나서 처음 보는 음식 앞에서 우리는 어떤 생각을 할까? 용이나 유니콘을 상상하는 일과 같지 않겠는가?

한식을 소개하려고 영어로 이름을 붙이는 방법은 여러 가지이다. 우선, 음식의 이름을 풀이하는 것이다. 삼색 나물은 세 가지 색의 채소(Three-colored Vegetables)로, 쌈밥은 잎으로 싸는 밥(Rice with Leaf Wraps)처럼 적는다. 물론 이름이 해석된다고 해도 그 맛이 짐작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방식으로, 재료나 특징을 드러내는 것이 있다. 설렁탕은 굵은 소뼈탕(Thick Beef Bone Soup), 삼계탕은 인삼과 닭의 국(Ginseng Chicken Soup), 비빔국수는 맵게 비빈 국수(Spicy Mixed Noodles)와 같이 적게 된다.

한편, '한국식 무엇'으로 소개하기도 한다. 육회는 한국식 소고기 타르타르(Korean Beef Tartare), 삼겹살은 한국식 베이컨(Korean Style Bacon), 수제비는 한국식 파스타(Korean Style Pasta Soup)로 이르는 식이다. 타르타르, 베이컨을 아는 이들이 일단 도전해 보겠지만, 한국 음식을 이국땅의 무엇에 유추하게 하는 오류가 있다. 만약 '김치'처럼 주재료의 특징이 크면 그것을 강조하는데, 김치찌개(Kimchi Stew), 김치볶음밥(Kimchi Fried Rice) 등이 그러하다. 흥미로운 것은 아예 우리가 쓰는 대로 내놓는 이름들이다. 불고기(Bulgogi), 비빔밥(Bibimbap) 등이 그 예인데, 고유 음식이라 굳이 번역하기도 어렵지만 맛본 사람이 많아져 더 이상 설명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현재 일본에서는 한국의 나물 반찬이 건강식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고 한다. 굳이 일본어로 번역하려 하지 않고 일본어 발음에 맞춰 '나무루'라고 부른다. 귤이 회수를 건너면 탱자가 되듯, 같은 음식이라 해도 환경에 따라 재료도 맛도 다르다. 한때 한국 땅으로 건너온 미국의 핫도그가 한국식으로 바뀌어 다시 서양인의 입맛을 잡고 있는 것처럼 말이다. 먹거리는 사람보다 쉬이 국경을 넘는데, 경험이 없는 음식명을 외국어로 충실히 번역하여 제공하는 것만이 능수는 아닐 듯하다. 음식의 세계화를 위해 우리는 어떻게 준비해 가야 할까?

이미향 영남대 글로벌교육학부 교수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