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北, 첫 군사정찰위성 발사 실패… 軍 "1단 추진체 원통 물체 수거 분석 중"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31일 첫 군사정찰위성을 발사했지만 2단 엔진 결함으로 서해에 추락했다. 북한은 실패를 인정하면서도 "가급적 빠른 기간 내 2차 발사를 단행할 것"이라며 물러서지 않았다. 한미 양국은 "심각한 도발"이라며 북한의 도발을 규탄했다. 발사 직후 서울지역에서는 경계경보가 잘못 발령되는 혼란을 빚었다.
합동참모본부는 이날 “오전 6시 29분쯤 북한 평안북도 동창리 일대에서 남쪽 방향으로 발사된 ‘북 주장 우주발사체’ 1발을 포착했고 이후 비정상적 비행으로 낙하했다”고 밝혔다. 북한도 발사 2시간 30분 후 관영매체를 통해 “31일 6시 27분 서해위성발사장에서 군사정찰위성 만리경 1호를 운반 로켓 천리마 1형에 탑재해 발사했으나 2계단 발동기(엔진)의 시동 비정상으로 서해에 추락했다”며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공개했다.
백령도 서쪽 먼바다 상공을 통과한 발사체는 발사 6분 만에 어청도 서방 200여 ㎞ 해역에 추락했다. 우리 군 당국은 인근 해역에 대기 중이던 해군 구조함을 투입해 로켓 1단 추진체와 연관된 것으로 추정되는 원통형 물체를 수거해 분석 작업에 들어갔다. 어청도는 전북 군산항에서 서쪽으로 66㎞ 떨어져 있다.
합참 관계자는 “낙하지점은 한중 잠정조치수역, 한국과 중국의 중간 해역 정도로 알고 있다”며 “북한이 발사 계획을 미리 공지함에 따라 경계 작전을 수행 중이었기 때문에 신속한 수거가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잠정조치수역은 한국과 중국 어선에 한해 자유롭게 조업할 수 있도록 허용된 구역이다.
북한의 이날 발사는 '기습적'이었다. 당초 북한은 국제해사기구(IMO)에 발사 예고기간을 5월 31일부터 6월 11일로 통보하면서도, 전날 군부 2인자 리병철 노동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위원장을 앞세워 “6월에 발사하겠다”고 공언했다. 한미 정보 감시망을 피하기 위해 31일 발사를 의도적으로 배제하는 듯한 연막작전을 편 것이다.
북한이 위성이라고 주장하는 발사체를 쏜 것은 2016년 2월 광명성 4호 이후 7년 만이다. 1998년 8월 광명성 1호를 시작으로 이번이 7번째 발사다. 북한은 위성이라 주장하지만 위성과 탄도미사일은 발사체 앞부분에 탑재하는 것이 위성인지, 탄두인지만 다를 뿐 발사 원리는 같다. 이에 유엔은 “탄도미사일 기술을 사용한 모든 발사는 관련 안보리 결의에 위배된다”고 비판했다.
대통령실은 조태용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상임위원회를 열고 “이번 발사는 성공 여부와 무관하게 유엔 안보리 결의에 대한 중대한 위반이자 한반도와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도발”이라고 규탄했다. 미국 백악관 NSC도 성명을 내고 "다수의 유엔 안보리 결의안을 뻔뻔스럽게 위반하고 긴장을 고조시키며 지역의 안보상황을 불안정하게 만들 위험이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이 실패를 만회하기 위한 추가 발사를 예고한 만큼 시점이 주목된다. 2012년 4월 광명성 3호(인공위성)를 탑재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발사 실패 당시 8개월 만에 재발사에 나섰다. 다만 이번에는 간격이 훨씬 짧아질 전망이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교수는 “북한이 실패 원인을 위성보다는 2단 분리 추진체의 문제라고 밝힌 데다 당 전원회의 소집을 6월 상순으로 예고한 만큼 가급적 6월 안에 2차 발사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