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아프리카 대륙은 55개 국가를 포괄하고 있다. 칼럼을 통해 아프리카가 얼마나 다양한지 소개하려 한다.
동아프리카 3,000만 명 아사 위기
기후변화 책임 없는데도 피해 집중
기후대응, 국제사회 적극 지원해야
동아프리카에 속한 케냐는 가뭄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케냐 북서부 투르카나 카운티에 위치한 저수지와 댐의 약 90%가 말랐다. 이 지역 유목민들은 물을 찾아 최대 30㎞를 걷고 있다고 한다. 역대 최악의 가뭄으로 동아프리카의 식량 위기는 최고조에 달했다. 지속되는 가뭄으로 농산물 수확량은 감소하고 식량 가격은 급격히 상승했다. 5년 연속 우기에도 비가 내리지 않아 40년 만에 가장 건조한 기후를 기록했고, 수천만 명이 식량난으로 생존의 위기를 겪고 있다. 기근 위기가 심각한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케냐, 남수단에서는 2022년 12월 기준, 식량 위기를 겪는 인구 수가 약 3,000만 명에 이르고 있다. 특히 소말리아는 전체 아동인구의 절반이 영양실조로 사망할 위기에 처해 있다.
예측 불가능하고 극단적인 날씨로 목초지가 줄어들고 가축은 죽고, 지역민들 또한 일자리를 찾아 반강제적으로 살던 마을을 떠날 수밖에 없다. 기후변화로 초래된 위험은 아프리카에서 새로운 이주의 주요 동인이 되고 있다. 만성적인 가뭄과 홍수, 해수면 상승, 극단적인 기상이변 등은 국경 내에서 뿐 아니라, 국경을 넘는 이주 패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1년 사하라사막 이남 아프리카에서 약 1,410만 명의 사람들이 내부 실향민이 되었으며, 이 수치에는 분쟁과 폭력으로 인한 약 1,150만 명의 실향민과 자연재해로 인한 250만 명의 실향민이 포함되어 있다.
동아프리카의 기근 문제는 기후변화의 결과다. 우기에도 비가 내리지 않거나 특정 지역에 폭우가 쏟아지는 등 잦은 이상기후로 날씨를 예측할 수 없게 되면서 대응에도 어려움을 겪고 있다. 가뭄에 시달리는 지역은 동일하게 홍수가 큰 위협이 되기도 한다. 가뭄 후 내리는 비는 좋을 것처럼 예상되지만, 오랜 기간 건조했다가 갑작스럽게 내리는 폭우는 돌발성 홍수를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남수단은 2020년과 2021년 집중호우로 인해 호수와 강의 수위 상승이 이어져 3년 연속 극심한 홍수를 기록했다.
억울하게도 기후변화 최전선에 있는 아프리카는 인류가 초래한 기후변화에 대한 책임이 가장 적은 지역이다. 전 세계 탄소배출량 중 아프리카 국가들이 배출하는 양은 2~3%에 불과하지만,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가장 크게 받고 있다. 기온 상승은 1961년 이후 아프리카 농업 생산성을 34% 감소시켰다. 이는 세계 어느 지역보다 심각한 것이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구 평균기온 1.5℃ 상승은 서아프리카에서 옥수수 수확량 9%, 남부 및 북부아프리카에서 밀 수확량의 20~60% 감소를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5년 채택된 파리협정에 따라, 2020년부터 모든 국가는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산업화 이전 대비 2℃보다 낮은 수준으로 유지하기 위해 기후변화에 대한 공동 조치를 취하는 데 동의했다. 파리협정에 서명하고 비준한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들도 온실 가스 배출량을 줄이고 탄력성을 구축함으로써 기후행동을 강화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이들의 약속 중 많은 부분은 외부로부터 충분한 재정, 기술 및 역량 구축 지원을 받는 것을 조건으로 한 것이다. 아프리카 국가들은 기후변화에 대응할 자원과 인프라가 부족해 더 큰 피해를 입고 있다. 우리를 포함한 국제사회가 조기 경보 시스템 강화와 초국경 협력, 데이터 교환 및 지식 공유 등을 통해 위험에 처한 아프리카 국가들이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2011년 동아프리카 기근 당시 26만 명이 사망했다. 또다시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정부와 민간, 국제사회가 협력하여 아프리카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만이 사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