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T석학 만난 윤 대통령 "혁신적 과학기술 협력"

입력
2023.04.29 01:57
수정
2023.04.29 08:23
2면
구독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보스톤 인근 MIT에서 열린 디지털바이오 석학과의 대화에 참석해 입장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미국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28일(현지시간) 보스톤 인근 MIT에서 열린 디지털바이오 석학과의 대화에 참석해 입장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보스턴의 매사추세츠 공과대학(MIT)을 찾았다. 현직 대통령이 MIT를 찾은 건 처음이다. 윤 대통령은 디지털 바이오 분야 석학들과 만나 "우리 동맹이라는 것이 국방 안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런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과학기술 협력이 동맹의 새로운 영역"이라고 말했다.

이날 대담에는 반도체 연구의 권위자인 아난타 찬드라카산 MIT 공대 학장, 모더나 공동창업자인 로버트 랭거 교수, 합성생물학의 창시자 제임스 콜린스 교수, 컴퓨터 의공학 분야 권위자 디나 카타비 교수, 미 '젊은 과학기술자 대통령상'을 수상한 뇌 매핑 분야 정광훈 교수, MIT 한국인 최연소 박사인 윤송이 엔씨소프트 최고전략책임자(CSO) 등이 참석했다.

윤 대통령은 서양 중세도시에서 유래한 '도시의 공기는 자유를 준다'는 문구를 언급하며 "정말 보스턴의 공기는 우리에게 자유를 주는 것 같다. 아메리카 대륙에서 자유의 전당이라고 할 수 있는 보스턴이 창의와 혁신의 첨단 과학기술을 선도하는 것은 우연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또 "미국과 보스턴의 첨단과학기술, 바이오 사이언스, AI(인공지능), 이런 디지털 분야에서 어떤 것을 배우고 협력하고 시너지를 만들 수 있는지, 정치인인 제가 와서 눈으로 보는 것과 참모들에게 설명을 듣는 것의 차이가 클 것"이라고 MIT방문의 의미를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보스턴에서 유학했던 친구들에게 '이렇게 추운데 어떻게 공부했느냐'고 하니, 추워서 산소가 풍부하고 아침에 늦잠을 잘 수 없기에 공부하기엔 최적이라고 하더라"며 "정말 연구하기에 최적의 도시"라고 했다.

대담 전 토머스 슐츠 MIT 생물학과 교수와 단백질 구조분석을 위한 첨단 연구시설인 '극초저온 전자현미경'을 살펴본 윤 대통령은 "첨단 현미경을 보고 이런 초저온에서 단백질을 얼려서 분석하는 컴퓨터 화면을 보면서 또 많은 통찰을 얻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은 함께 MIT를 찾은 정부 관계자들에게 "최고의 인재들이 모여있는 MIT에서 공학·의학·디지털 기술이 결합한 '디지털 바이오'를 창의적으로 수용하고 싶다"며 "융합의 산물인 디지털 바이오 연구 결과가 어떻게 인류를 위해 긍정적으로 활용될지 함께 고민해달라"고 당부했다.

정부는 이날 대담에서 논의된 주요 내용을 바탕으로 △AI 등 디지털 기술과 의료 데이터를 접목한 바이오 연구개발 △의사과학자 등 융합인력양성 △바이오 연구 고도화를 위한 첨단분석장비 개발 및 활용 △디지털바이오 기술기반 스타트업 지원방안 등을 포함한 '디지털 바이오 이니셔티브'(가칭)을 수립해 오는 5월 중에 발표할 계획이라고 대통령실은 밝혔다.



보스턴= 김현빈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