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체 진상규명'에 여론 싸늘·내홍 우려... 민주 '돈봉투 의혹' 대응 딜레마

입력
2023.04.16 19:00
6면
구독

이번 주 당내 기구 통한 진상조사 추진
내년 총선 염두 '부패 정당' 불식 차원
"조사대상·범위 불분명해" 일각 신중론
송영길과 친한 '이재명 리더십'에 영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9주기 기억식에 참석하고 있다. 안산=국회사진기자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6일 오후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9주기 기억식에 참석하고 있다. 안산=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이 2021년 전당대회 당시 '돈 봉투 살포' 의혹과 관련해 자체 진상규명 카드를 꺼내 들었다. 선제 대응으로 여권의 '부패 정당' 프레임을 차단하고 내년 총선에 미칠 영향을 최소화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다만 의혹의 중심에 선 송영길 전 대표가 이재명 대표와 밀접한 관계였던 만큼 진상조사 결과와 당 대응에 따라 비이재명계와 갈등의 기폭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은 부담이다.

당초 민주당은 해당 의혹이 처음 제기됐을 때만 해도 대통령실의 도·감청 논란 등의 국면 전환을 위한 검찰 수사의 성격이 짙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다수 현역 의원들의 연루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논란이 확산될 조짐을 보이면서 자체 진상규명 쪽으로 방향을 바꿨다.

현역 연루 가능성에 자체 진상규명 전환

강선우 대변인은 15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내부 논의를 마친 뒤 다음 주쯤 당내 기구를 통해 '돈 봉투' 의혹에 대한 진상규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힌 데 이어 16일에도 "진상규명에 여러 방법이 있는데, 조사도 할 수 있다"며 "디테일을 논의 중"이라고 했다. 이정근 전 사무부총장의 녹취록을 통해 금품 살포 의혹을 뒷받침하는 정황이 드러난 상황에서 여론이 악화하기 전 조기 수습을 해야 한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지도부 소속 한 의원도 "현역 의원이 10여 명이나 관련돼 있다는 보도까지 나왔는데, 당이 진상파악에 대한 언급을 안 하긴 어렵다"고 말했다.

당 차원의 진상조사에 대한 신중론도 있다. 지도부에 속한 다른 의원은 "현재까지 알려진 사실관계만으로 조사 대상이나 범위를 정하기가 어렵다"며 "당이 수사권이 있는 것도 아닌데 얼마나 신빙성 있는 증언을 확보할 수 있을지 미지수"라고 했다. 이 같은 배경에는 진상조사를 시작하면 '문제가 없었다'는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는 딜레마가 있다. 이 대표의 사법 리스크에 따른 방탄 논란에 대한 싸늘한 여론을 감안할 때, 진상조사 과정에서 연루된 현역 의원에 대한 징계 등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6·1 지방선거를 앞둔 지난해 5월 27일 송영길 당시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와 이재명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후보가 경기 김포 고촌읍 아라 김포여객터미널 아라마린센터 앞 수변광장에서 열린 김포공항 이전 수도권 서부 대개발 정책협약 기자회견에서 정책협약서에 서명한 뒤 악수를 나누고 있다. 김포=오대근 기자

6·1 지방선거를 앞둔 지난해 5월 27일 송영길 당시 더불어민주당 서울시장 후보와 이재명 인천 계양을 국회의원 후보가 경기 김포 고촌읍 아라 김포여객터미널 아라마린센터 앞 수변광장에서 열린 김포공항 이전 수도권 서부 대개발 정책협약 기자회견에서 정책협약서에 서명한 뒤 악수를 나누고 있다. 김포=오대근 기자


'이재명 리더십' 논란 재연 계기될 수도

당직 개편으로 잠시 내홍을 수습한 이 대표의 리더십이 도마에 오르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 보좌관이 연루되는 등 해당 의혹의 핵심 당사자인 송 전 대표는 2021년 '이심송심'이란 말처럼 이 대표와 정치적 관계가 가까웠다. 당시 송 전 대표가 전대에서 대표로 선출되는 데 이 대표 측이 지원했고, 송 전 대표는 그해 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서 이 대표를 측면 지원했다는 평가가 대체적이다. 이 대표가 이번 사태를 미온적으로 대처한다면 '봐주기 논란'이 불가피하다.

한 친이재명계 의원은 "의혹의 사실관계가 명확하지 않은 만큼 지금 당장 평가하기가 어렵다"고 말을 아꼈다. 반면 비이재명계 중진 의원은 "당이 무너지게 생긴 만큼 서둘러 검찰보다 강하게 돈의 흐름을 파헤쳐야 한다"며 "검찰의 '국면전환용 수사'라는 주장으로는 희석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2021년 전대 당시 실무를 맡았던 한 민주당 관계자는 "송 전 대표를 도왔던 친명계 인사들이 지도부 곳곳에 포진하고 있다"며 "강경 일변도의 대응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尹 외교 성과' 겨냥 대여공세도 차질

이번 의혹은 민주당의 대여공세를 무디게 할 수 있는 악재이기도 하다. 지난 14일 발표된 한국갤럽 여론조사 결과, 윤석열 대통령 지지율이 5개월 만에 20%대로 추락한 이유로 '외교'가 꼽혔다. 이에 민주당은 이달 말 윤 대통령의 미국 국빈 방문을 앞두고 발생한 대통령실 도·감청, 블랙핑크 공연 무산 논란 등을 고리로 대여공세의 수위를 끌어올리려던 차였다. 한 재선 의원은 "대통령이 방미 기간 중 실수를 하더라도 검찰발 수사 이슈에 묻힐 가능성이 많다"고 전망했다.

장재진 기자
박세인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