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진과 재준의 '아무 말 대잔치'…가해자들, 이것 과하다 [터치유]

입력
2023.04.12 14:00
수정
2023.08.01 17:44
구독

[1분 심리학] <23> 자기중심성
경청·공감 아닌 내 말만 늘어놓는 '집단적 독백'

편집자주

복잡하고 어려운 심리학을 쉽게 풀어드립니다. 알고 나면 더 잘 보이는 나의 마음. 딱 1분만 투자해서 내 마음 더 잘 알아가 볼까요? 연재 구독, 혹은 기자 구독을 누르시면 유용한 용어 안내를 빠짐없이 보실 수 있습니다.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 속 가해자들. 해당 장면은 집단적 독백과는 무관하다. 넷플릭스 유튜브 영상 캡처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더 글로리' 속 가해자들. 해당 장면은 집단적 독백과는 무관하다. 넷플릭스 유튜브 영상 캡처


"너네 혹시 우리 고등학교 때 기억나?"(박연진)
"예솔이는 잘 있냐?"(전재준)
"우리가 문동은한테 어떻게 했지?"(박연진)
"진짜 니들한테 가방 안 던졌어?"(이사라)

넷플릭스 시리즈 '더 글로리' 중

놀랍게도 한 시공간에서 이뤄지는 쌍방 간의 대화입니다. 어떠한 맥락도 흐름도 없이 자기 하고 싶은 말만 하는 이 장면은 넷플릭스 시리즈 '더 글로리' 속 가해자들의 자기중심성을 상징적으로 보여줍니다.

이를 '집단적 독백'이라 합니다. 독백은 흔히 연극이나 영화 속 인물이 외따로 놓인 상황에서 혼잣말을 하는 일이죠. 집단적 독백은 한자리에 모인 여러 인물이 대화의 맥락 없이 혼잣말만 늘어놓는 경우입니다. 상대방의 말을 경청하고 질문하고 공감하는 대화와 소통이 아닌, 자신의 이야기만을 늘어놓는 게 특징입니다.

집단적 독백은 스위스의 발달심리학자 장 피아제가 처음 제시한 개념인데요. 피아제는 인지발달이론을 통해 자기중심적 언어에 대한 논의를 처음 시작한 학자입니다.

심리학계에서 말하는 자기중심성이란 자기와 자기를 둘러싼 바깥세상을 구분할 줄 모르는 상태인데요. 자아를 타인과 구별하지 않기 때문에 모든 것을 자신의 생각과 감정만으로 이해하려 합니다. '더 글로리' 속 가해자들인 박연진과 전재준은 자기중심성이 과도한 인물인 셈이죠.

피아제는 '세 산 실험'을 통해 이를 증명했습니다. 세 개의 각기 다른 모양의 커다란 산 모형을 두고, 다른 위치에서 타인이 보게 될 산의 모양을 예상하도록 하는 실험인데요. 유아기의 아동들은 타인이 자기가 보는 산의 모양과 다른 장면을 본다는 사실을 모르는 자기중심적인 사고를 보였습니다. 이는 대략 8세 이상이 되면 조금씩 해소되면서 타인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고 합니다.

보통 2~6세 유아들에게서 보이는 자기중심적 대화 습관은 종종 성인들 중에서도 발견되는데요. 타인의 감정을 헤아리는 능력이나 공감적 인지 능력, 또는 상호작용적 대화 습관이 제대로 발달되지 않은 경우 성인기에서도 나타날 수 있다고 합니다. 문제는 적절한 정서적 교류나 사회적 관계 형성의 부족으로 대인관계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이죠.

특히나 기술의 발달로 그룹 채팅방이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이런 집단적 독백을 자주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의식의 흐름', '아무 말 대잔치', '답정너(답은 정해져 있으니 너는 대답만 하면 돼)'도 자기중심적인 언어 행태를 나타내는 표현인 셈입니다.

※ 참고 자료

-전영미, 송현주. 만 3세 한국 아동들의 타인 조망 수용 능력과 새로운 단어 학습. 2012년.



평범한 이웃들의 비범한 고민, 일상을 지키는 마음돌봄 이야기를 담아요. 그래픽=한규민 디자이너

평범한 이웃들의 비범한 고민, 일상을 지키는 마음돌봄 이야기를 담아요. 그래픽=한규민 디자이너


손성원 기자

터치유 지기이자 한국일보 기자입니다. 평범한 이웃의 비범한 고민 속, 마음돌봄 이야기를 다룹니다. '지속가능하고 무해한 삶을 지향한다'는 뜻의 닉네임 'eco'를 쓰고 있습니다.
-한국MBTI연구소 MBTI® Form M 전문자격 보유
-2022 4분기 생명존중 우수보도상 수상(한국기자협회X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목동하타요가 전문지도자 과정(TTC) 수료

치유하는 터전, 터치유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실 수 있어요. (무료)
https://www.hankookilbo.com/NewsLetter/touchyou

'터치유'가 한국일보의 디지털 서비스 실험 조직인 'H랩(Lab)'과 함께 돌아왔습니다. 탐사선 H랩은 기존 뉴스 미디어의 한계선 너머의 새로운 기술과 독자, 무엇보다 새로운 성장 가능성과 만나려 합니다. H랩 시즌1 프로젝트인 '터치유'는 평범한 이웃의 비범한 고민 속, 마음 돌봄 이야기를 오디오 인터랙티브로 집중도 높게 들려드립니다.

※ 콘텐츠 추천 · 안내가 유용하셨나요? 자세한 상황은 꼭 전문가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 독자님들의 건강한 콘텐츠 이용을 위해, 해당 내용이 전문 진단과 처방을 대신할 수는 없다는 점을 정히 말씀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손성원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