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반도체 8개월째 부진 늪…자동차 대활약에도 무역수지는 13개월 연속 적자

입력
2023.04.02 21:00
12면
구독

산업통상자원부 3월 수출입 동향 발표

2일 부산 남구 신선대(아래) 및 감만(위)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뉴시스

2일 부산 남구 신선대(아래) 및 감만(위) 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뉴시스


지난달(3월) 우리나라 무역 수지가 총 46억2,000만 달러 적자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 이차전지 등 자동차 관련 품목 수출은 늘었지만 수출 최대 품목 반도체는 부진의 늪에서 벗어 나오지 못했다.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3년 3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수출은 551억2,000만 달러, 수입은 597만5,000만 달러였다. 무역수지는 지난해 3월 이후 13개월 연속 적자를 이어갔다.



IT 제품 수요 위축‧가격 하락…반도체 불황 지속

월별 무역수지 및 반도체 수출액. 그래픽=김대훈 기자

월별 무역수지 및 반도체 수출액. 그래픽=김대훈 기자


수출 부진은 ①글로벌 경기 둔화 및 대중 수출 감소 ②반도체 업황 악화 ③지난해 3월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효과 영향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 수출은 지난해 10월 전년 동월 대비 -5.8%를 기록한 후 6개월째 감소세다. 수출 감소는 중국·일본·독일·대만·베트남 등 주요 수출국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중국은 지난해 10월 이후 올 2월까지 5개월 연속으로 수출이 감소했으며 일본 또한 지난해 4월 이후 10개월 연속으로 수출이 감소하는 등 무역적자가 지속되고 있다. 지난해 3월 수출이 역대 최고 실적(638억 달러)을 기록한 데 따른 기저 효과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수출 규모는 지난해 9월(572억 달러) 이후 6개월 만에 550억 달러대를 회복했다.

전 세계적으로 경기 둔화 흐름이 이어지면서 우리나라 수출 주력 품목인 반도체 부진의 영향이 크게 작용했다. 3월 반도체 수출액은 86억 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34.5%(45억 달러) 급감했다. 정보기술(IT) 제품 시장의 수요 위축과 한국의 주력 제품인 D램·낸드플래시 가격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는 탓이다. 반도체 수출은 지난해 8월부터 8개월 연속 하락세다. 특히 우리나라 최대 수출 시장인 중국을 상대로 한 반도체 수출이 지난달 49.5% 줄어 반토막이 났다. 올 1월과 2월 각각 46.2%, 39.7% 감소한 데 이어 계속해 큰 폭의 감소세를 보이고 있는 것이다. 그 외에도 디스플레이(-41.6%), 석유화학(-25.1%), 철강(-10.7%) 등 중간재 품목의 수출도 감소했다.

반면 자동차·이차전지 수출은 전년 대비 각각 64.2%, 1.0% 증가했다. 특히 자동차 수출액은 65억2,000만 달러로 역대 처음으로 월 기준 60억 달러를 돌파했다. 이차전지 수출액은 8억7,000만 달러로 3월 기준 1위에 올랐다.



무역 적자 폭 개선…"수출 드라이브·에너지 효율 향상할 것"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달 21일 서울 종로구 무역보험공사에서 '수출입동향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시스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이 지난달 21일 서울 종로구 무역보험공사에서 '수출입동향 점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뉴시스


동절기가 끝나고 원유·가스 등 에너지 수입이 줄어들며 전체 수입액은 감소했다. 지난달 에너지 수입액은 총 145억 달러로 원유와 가스 수입액은 전년 대비 각각 6.1%, 25% 감소했다. 에너지 수입 규모는 지난해 12월(167억 달러)부터 가격 하락 등의 영향으로 계속 줄어들고 있다.

반도체 등 주력 품목 수출 부진이 이어지고 있지만 에너지 수입액이 줄어들면서 무역 적자 폭은 좁아지고 있다. 무역 적자는 올해 1월과 2월 각각 127억 달러, 53억 달러에 이어 지난달 46억 달러로 좋아지는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창양 산업부 장관은 "무역적자 개선을 위해선 강력한 수출드라이브와 함께 에너지 효율 개선과 절약 문화 정착이 중요하다"며 "에너지 요금 현실화가 지연될 경우 에너지 고효율 구조로 전환이 늦춰지고 에너지 수입 증가로 무역수지에 대한 부담도 지속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주예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