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대우, 정치적 판단 오류로”…
외환위기 그리고 김우중의 한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지방 창생’ 목적… 일부 부서는 도쿄에
연간 출장비만 4억7000만원 달해
일본 교토시 전경. 오른쪽에 교토타워가 보인다. 게티이미지뱅크
일본 문화청이 수도 도쿄에서 교토로 이전해 27일부터 첫 업무를 시작했다. 도쿄 집중 현상을 줄이고 지방 발전을 꾀하기 위해 아베 신조 내각 때부터 추진한 '중앙정부의 지방 이전'이 실현된 첫 사례다. 다만 문화청 직원들이 도쿄와 교토를 오가는 출장비가 연간 4,700만 엔(약 4억6,700만 원) 이상이 될 예정이어서 효율성 문제가 남았다. 한국 공무원들도 서울과 세종시를 오가지만 일본 교통비는 한국보다 약 10배 비싸다.
27일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26일 교토에서 열린 문화청 이전 축하 모임에서 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청사 이전을 계기로 교토를 중심으로 한 새로운 문화 진흥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도쿠라 슌이치 문화청장도 “새로운 문화 예술을 교토에서 전 세계에 알리겠다”고 말했다.
일본 중앙부처의 지방 이전은 메이지 유신으로 일본이 근대국가 체제를 갖춘 후 처음 있는 일이다. 아베 내각은 2014년 도쿄 집중을 해소한다며 중앙부처 지방 이전을 추진했고, 가장 먼저 문화재청의 교토 이전이 결정됐다. 교토는 일본 국보의 20%가 집중돼 있고 전통문화 계승도 활발한 지역이다.
올해 5월까지 직원의 70%에 해당하는 약 490명이 순차적으로 교토로 이동한다. 청장을 비롯한 간부와 문화재 관련 부서 직원들이다. 이들도 교토로 완전히 이전하는 건 아니다. 국회 출석, 다른 부처와 협업 등을 위해 도쿄를 드나들어야 한다. 2020년 실시한 시뮬레이션 결과 문화청 직원들이 온라인으로 볼 수 있는 업무는 26%에 불과했다.
중앙부처의 지방 이전이 문화청으로 끝날 가능성도 있다. 추가 이전 계획이 잡힌 부처는 현재로선 없다. 2016년 부처 7곳의 이전이 검토됐지만, 소비자청과 총무성의 기능 일부만 지방으로 옮긴 데 그쳤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