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올해 하반기 첫 삽... 2028년 개통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 동북~동남권 통행시간 20분 단축
서울 동부간선도로 월릉교∼대치동 12.2㎞ 구간의 지하화 사업이 올 하반기 착공한다. 사진은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 위치도. 서울시 제공
서울 동부간선도로 월릉교~대치동 12.2㎞ 구간 지하화 사업이 올해 하반기 착공한다. 2028년 지하도로가 개통되면 서울 동북권과 동남권 간 통행 시간이 평균 20분 정도 단축된다.
서울시는 27일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1단계 민자구간(10.1㎞) 시행자인 동서울지하도로와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올해 하반기 착공한다"고 밝혔다.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1단계 사업은 중랑구 월릉교~강남구 대치동 12.2㎞ 구간을 한강 밑으로 뚫는 4차선 소형차 전용 지하도로다.
1단계 사업은 민자구간과 재정사업 구간으로 나눠 진행된다. 시는 지하도로 12.2㎞ 중 월릉교~영동대교 남단 10.1㎞를 민자구간으로, 나머지 삼성동~대치동 2.1㎞ 구간은 서울시 재정사업으로 추진한다. 시는 민자구간과 재정사업 구간을 2028년 동시 개통한다는 방침이다.
동부간선 지하도로는 기존 월릉IC와 군자IC를 통해 진·출입할 수 있고, 영동대로 삼성IC와 도산대로 청담IC가 신설된다. 사업비는 민자 6,378억 원, 시비 3,496억 원 등 총 9,874억 원이 투입된다. 시는 동부간선 지하도로가 개통되면 동부간선도로 일 평균 교통량이 15만5,100대에서 8만 7,517대로 최대 43% 감소하고, 동북~동남권 간 통행시간도 30분대에서 10분대로 단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1단계 사업이 마무리되면 노원구 하계동~성동구 송정동 11.5㎞ 구간을 지하화하는 2단계 사업이 추진된다. 최진석 서울시 안전총괄실장은 “동부간선도로 지하화로 상습정체를 해결하고, 동북권과 동남권 간선도로를 직접 연결해 강남ㆍ강북 균형발전에 도움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