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조직에서 더 문제 되는 '똑똑한 게으름쟁이'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체력이 떨어지거나 일에 대한 통제권이 없어지면 무기력해진다. 또 다른 이유는 감정적 에너지를 소진했을 때다. 무얼 해도 안 된다는 비관과 자기 비하에 시달리면서 우울증에 빠지기도 한다.
하지만 대개 잠시 손을 놓고 늘어져 의욕과 체력이 돌아오길 기다릴 것이다. 다른 사람 눈에는 그저 게으른 사람으로 보일 수도 있지만 한 덩어리 일을 마치고 일정 시간 휴식을 취하는 것은 다음 일을 하기 위한 재충전을 위해 반드시 필요하다.
게으름은 죄책감을 주기도 한다. 사회심리학자 데번 프라이스는 “산업화 덕분에 새벽에 일어나 정해진 일상을 반복하고 성취를 위해 올인하는 것이 ‘좋은 삶’으로 정의됐다”고 말했다. 목표지향적 루틴을 실천하는 부지런한 삶을 뜻하는 ‘갓생(GOD生)’을 위해 피나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도그마에 빠져 게으름을 죄악시하는 것이다. 덕분에 쉬면서도 마음이 편치 않은 직장인이 많다.
게으름쟁이라는 단어는 매사에 성실하지 못하고 끝을 맺지 못하는 사람에게 해당한다. 일과 공부를 성실하게 대하지 않고 일보다 먼저 ‘쉼’을 선택하는 사람을 말한다.
약간 느린 것을 넘어서 일을 타인에게 떠넘기거나 책임지지 않으려 하는 것도 게으름의 영역이다. “제가 할 일이 아닌 것 같은데요” “그래서 잘 안 될 것 같아요”라는 말을 하는 사람은 종종 일하기 싫어하는 사람으로 찍힌다.
조직에서는 사실 ‘똑똑한 게으름쟁이(smart slacker)’가 더 문제다. 이들은 대부분 똑똑하고 말을 잘해 하지 않은 일이어도 하지 말아야 할 이유를 논리적으로 찾아내는 데 능하다. 게다가 핵심도 잘 찍는다. 직장에는 업무 분장이 있기에 정해진 업무가 아니면 하지 않는다. 일의 진도가 잘 안 나가거나 지쳤을 때 스스로를 위한 좋은 핑곗거리를 만드는 것이기도 하다.
직장인들에게 유행하는 ‘조용한 사직’ 현상과도 일맥상통한다. 일을 그만두진 않지만 내가 정한 이상의 일은 하지 않겠다는 선언이다. 만약 지금 일하는 곳에서 그 전략이 잘 통하고 있다면 그곳은 ‘신의 직장’일 가능성이 높다.
핵심은 ‘받은 만큼’의 일이라는 걸 누가 정하냐는 것이다. 어떤 일을 하건 목표를 정해 놓고 하다 보면 그 과정에서 예상치 않은 많은 일이 발생한다. 그럴 때 나는 정해진 것만 하겠다고 주장한다면 그 일은 결국 누가 해결해야 할까? 어쩌면 리더가 보는 당신은 건강한 젊은 세대가 아니라 그저 똑똑한 게으름쟁이일 수 있다.
현실에선 정해진 일만 할 수 있는 직장은 그리 많지 않다. 내 인턴 시절에 업무 분장은 거의 의미가 없었다. 늘 준비한 채 대기하다가 주어진 일을 하는 게 첫 기억이었다. 직장 대부분이 비슷할 것이다. 그런데 그 기간에도 익숙해지는 일의 기술이 있었고 경험을 쌓는 것이 있었다.
지금 당장 마운드에 올라가 각광받고 싶더라도 그전에 운동장 옆에서 선배들의 공을 받아주고 남는 시간에 개인 능력을 키우는 훈련이 필요하다. 축적의 시간은 성실함이 지배하기 때문이다.
어차피 삶은 작은 선택의 연속이고 행복이라는 건 내 만족 수준에 달린 것이니까. 지금 수준에서 만족하겠다면 그래도 좋다. 하지만 좀 더 잘 해내는 동료에 대한 질투나 부러움을 느끼지 않도록 스스로 다독이는 연습을 하는 게 좋겠다. 그저 안분지족(安分知足)하고 살겠다면 말이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