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조선 왕의 시선으로 보다... 창덕궁 인정전 내부 공개

입력
2023.03.04 18:00
구독

전등 달고 유리창에 커튼 설치, 돌 바닥은 마루로 개조
순종이 1900년대 초부터 쓰던 집무 및 생활 공간
'창덕궁 깊이 보기, 궐내각사' 4월 말까지 예약제 운영


순종은 1907년 거처를 창덕궁으로 욺기며 인정전을 생활공간으로 수리·보수했다. 천장에는 현대식 전등을 매달고, 창호지문 대신 유리창문과 커튼을 설치했다. 또 천장 중앙에는 높이 나는 봉황 한 쌍을 표현한 나무조각을 제작해 설치했다.

순종은 1907년 거처를 창덕궁으로 욺기며 인정전을 생활공간으로 수리·보수했다. 천장에는 현대식 전등을 매달고, 창호지문 대신 유리창문과 커튼을 설치했다. 또 천장 중앙에는 높이 나는 봉황 한 쌍을 표현한 나무조각을 제작해 설치했다.


창덕궁 인정전 내부에 들어서면 높은 단상 위에 자리 잡은 어좌와, 그 뒤에 높이 걸린 일월오봉도가 눈에 들어 온다.

창덕궁 인정전 내부에 들어서면 높은 단상 위에 자리 잡은 어좌와, 그 뒤에 높이 걸린 일월오봉도가 눈에 들어 온다.


창덕궁 심화해설 프로그램 ‘창덕궁 깊이 보기, 궐내각사’ 행사 참가자들이 3일 서울 종로구 창덕궁의 정전(正殿)이자 국보 제225호인 인정전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창덕궁 심화해설 프로그램 ‘창덕궁 깊이 보기, 궐내각사’ 행사 참가자들이 3일 서울 종로구 창덕궁의 정전(正殿)이자 국보 제225호인 인정전 내부를 둘러보고 있다.

창덕궁의 정전이자 국보 제225호인 인정전의 내부가 3일 일반에 공개됐다. 인정전은 조선 제27대 왕 순종의 결혼식과 세자 책봉식을 비롯해 국왕이 외국 사신을 접견하는 등 국가적인 공식 행사가 열린 곳이다.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는 그동안 밖에서만 볼 수 있었던 인정전의 내부를 이날 미리 신청한 20명에게 공개하는 심화 해설 프로그램 '창덕궁 깊이 보기, 궐내각사'를 진행했다.

인정전에 들어서니 안쪽 벽 앞 중앙에 자리 잡은 임금의 어좌가 제일 먼저 눈에 들어왔다. 그 뒤로는 왕권을 상징하는 일월오봉도가 펼쳐져 있다. 일월오봉도는 임금을 뜻하는 해와 왕비를 의미하는 달, 임금이 다스리는 삼라만상을 상징하는 다섯 개의 봉우리가 그려져 있다.

인정전 내부. 바닥은 흙을 구워 만든 벽돌에서 나무 마루로 바뀌었고 유리창과 커튼이 설치됐다.

인정전 내부. 바닥은 흙을 구워 만든 벽돌에서 나무 마루로 바뀌었고 유리창과 커튼이 설치됐다.


1907년 순종이 창덕궁으로 옮기면서 인정전의 내부에 전등이 설치됐다.

1907년 순종이 창덕궁으로 옮기면서 인정전의 내부에 전등이 설치됐다.


1907년 순종이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길 당시 인정전 바닥을 전돌에서 나무 마루로 바꿨고, 지금까지 그 형태를 보존해 오고 있다.

1907년 순종이 창덕궁으로 거처를 옮길 당시 인정전 바닥을 전돌에서 나무 마루로 바꿨고, 지금까지 그 형태를 보존해 오고 있다.

인정전은 1907년 순종이 거처를 창덕궁으로 옮기면서 내부를 정비했는데, 당시 현대식 전등과 유리창 그리고 커튼을 새로 설치했다. 바닥에는 전돌(흙을 구워서 만든 벽돌)이 깔려 있던 것을 나무 마루로 바꿔 지금까지 그 형태를 보존하고 있다.

일본 궁내청이 소장하고 있는 창덕궁 사진첩을 보면, 인정전 내부에서 임금의 공간이 지금과는 다르다. 여덟 계단을 밟고 오르게 돼 있는 높은 단상과 널찍한 어좌 대신 단 세 계단 정도의 낮은 단상에 서양식 의자, 작은 탁자 만이 단출하게 놓였다. 뒤쪽 벽면에는 조선시대 왕권을 상징해 온 일월오봉도가 아니라 봉황 그림이 걸려 있다.

창덕궁 인정전 내부에 들어서면 높은 단상 위에 임금의 어좌, 그 뒤로 왕권을 상징하는 일월오봉도가 한 눈에 들어온다.

창덕궁 인정전 내부에 들어서면 높은 단상 위에 임금의 어좌, 그 뒤로 왕권을 상징하는 일월오봉도가 한 눈에 들어온다.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에 기록된 조선 순종 때 인정전의 모습. 당시 순종은 인정전을 생활 공간으로 사용해 격식을 줄여 단출하다. 어좌 뒤편에는 일월오봉도 대신 봉황 병풍이 걸려 있다. 문화재청 제공

일본 궁내청 소장 창덕궁 사진첩에 기록된 조선 순종 때 인정전의 모습. 당시 순종은 인정전을 생활 공간으로 사용해 격식을 줄여 단출하다. 어좌 뒤편에는 일월오봉도 대신 봉황 병풍이 걸려 있다. 문화재청 제공


인정전 높은 천장에 구름 사이를 날으는 봉황을 표현한 나무 조각이 자리 잡고 있다.

인정전 높은 천장에 구름 사이를 날으는 봉황을 표현한 나무 조각이 자리 잡고 있다.


인정전은 밖에서 보면 2층 건물로 보이지만 내부에서 보면 위아래가 트인 중층 형태다. 층고가 한층 높아진 천장에는 하늘 높이 구름 사이를 날으는 봉황 한 쌍을 표현한 나무 조각이 자리 잡고 있다. 봉황은 조선시대 태평성대를 상징하는 상상의 동물로 어좌 바로 위에도 똑같은 형태의 봉황 문양이 그려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창호지를 대신해 설치된 유리창과 현대식 커튼은 궁궐이 가지고 있는 조선 왕실의 이미지와 이질적이라 더욱 눈길을 끈다. 커튼엔 길상 문양인 공작과 거북, 모란 등이 수놓여 있는데, 2012년 새로 제작한 것이다. 원래의 커튼은 현재 고궁박물관에 영구 보존 중이다.

창덕궁 심화해설 프로그램 ‘창덕궁 깊이 보기, 궐내각사’ 행사 참가자가 인정전 내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창덕궁 심화해설 프로그램 ‘창덕궁 깊이 보기, 궐내각사’ 행사 참가자가 인정전 내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창덕궁 심화해설 프로그램 ‘창덕궁 깊이 보기, 궐내각사’ 행사 참가자들이 인정전 내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창덕궁 심화해설 프로그램 ‘창덕궁 깊이 보기, 궐내각사’ 행사 참가자들이 인정전 내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궁능유적본부는 인정전 내부를 관람할 수 있는 해설 프로그램 '창덕궁 깊이 보기, 궐내각사' 행사를 이날부터 4월 30일까지 매주 금ㆍ토ㆍ일요일 오전 10시 30분 운영한다. 회당 정원은 20명(네이버 예약 15명, 현장 접수 5명)이고 예약자에 한해 관람이 가능하다.


한 외국인 관광객이 인정전 밖에서 내부를 들여다 보고 있다.

한 외국인 관광객이 인정전 밖에서 내부를 들여다 보고 있다.


인정전은 창덕궁 정전(正殿)이자 국보 제225호다.

인정전은 창덕궁 정전(正殿)이자 국보 제225호다.


왕태석 선임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