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자 7800명 넘어... 튀르키예·시리아 강진, 여전히 더딘 구조

입력
2023.02.08 07:53
수정
2023.02.08 09:27

7일(현지시간) 튀르키예 남부 아다나 지진 피해 현장에서 구조대가 실종자를 수색하고 있다. 뉴시스

7일(현지시간) 튀르키예 남부 아다나 지진 피해 현장에서 구조대가 실종자를 수색하고 있다. 뉴시스

튀르키예와 시리아를 강타한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 수가 7,800명을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여진과 악천후, 장비 부족 등으로 구조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어 사망자 수는 앞으로 더 늘어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7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은 튀르키예와 시리아 당국을 인용해 이번 지진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이 7,800명을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튀르키예에서는 최소 5,800명이 사망하고 3만4,000명 이상 다친 것으로 집계됐다. 시리아에서도 약 2,000명이 숨진 것으로 확인됐다.

사상자 수는 시간이 갈수록 늘고 있지만 구호 작업은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피해 지역이 광범위한데다, 여진이 이어지고 추위까지 겹쳤기 때문이다. 튀르키예 당국은 지진 피해 지역이 서부 아다나에서 동부 디야르바키르까지 직경으로 약 450㎞에 달한다고 전했다. 파괴된 건물은 6,000채에 달한다. BBC는 건물에 매몰된 사람을 찾기 위해 사망한 사람들의 시신 처리도 제때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최악의 경우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2만 명을 넘을 것으로 우려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도 1만 명 이상의 사망자가 나올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테워드로스 아드하놈 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지금은 시간과의 싸움"이라며 "매분, 매시간이 지나면 살아 있는 생존자를 찾을 가능성이 줄어든다"고 강조했다.

튀르키예와 시리아의 지진 피해가 커지자 국제사회는 앞다퉈 지원 의사를 밝히고 구호 물품도 전하고 있다. 미국은 79명으로 구성된 2개의 수색·구조팀을 현지에 급파했다. 유럽연합(EU)도 12개국 이상의 회원국이 구조대와 구호 물품을 보냈다. 일본은 75명 규모의 구조대를 튀르키예에 파견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는 단일규모로는 역대 최대인 118명으로 구성된 긴급구호대를 튀르키예 현지로 급파했다.

튀르키예의 반대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가입이 지연되고 있는 스웨덴과 핀란드 역시 지원에 동참하기로 했다. 전쟁 중인 우크라이나와 러시아도 구조대를 보내기로 했다.

민재용 기자

관련 이슈태그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