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정치인을 대체할 AI의 등장

입력
2023.02.01 18:00
26면
구독

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게티이미지뱅크 코리아

게티이미지뱅크 코리아

영국 제레미 헌트 재무장관이 지난달 27일 첨단기술 정책 관련 연설문을 작성하면서 인공지능 챗봇인 ‘챗GPT’(ChatGPT)의 도움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 챗봇은 미국 인공지능(AI) 기업 ‘오픈AI’가 개발한 것으로 헌트 장관은 첨단기술 발달 수준을 보여주려 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영국 언론은 “AI가 있다면 정치인이 왜 필요하나”는 냉소적 반응을 쏟아냈다. 파이낸셜타임스는 “첨단 소프트웨어를 사용해 혁신을 강조한 전략은 깔끔했지만, 정부 정책을 이렇게 쉽게 AI 챗봇으로 구상할 수 있다는 발상은 유감스럽다”고 점잖게 꼬집었다.

□챗GPT는 지난해 11월 30일 공개 두 달 만에 하루 이용자가 1,000만 명을 돌파하는 등 돌풍을 일으키며, 아이폰 출현 이후 최고의 혁신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사람과 자연스러운 대화와 리포트 연설문 등 글쓰기는 기본이다. 복잡한 논문을 깔끔하게 요약하고, 소프트웨어 코딩 능력은 전문가급이다. 미국 명문 경영전문대학원(MBA)인 와튼의 시험과 의사면허 시험도 통과했다. 최근에는 음악과 미술로 영역을 넓히고 있다. 한국어도 통하고 아직 무료이니 미덥지 않으면 언제든 시험해 볼 수 있다.

□오픈AI에 거액을 투자한 마이크로소프트는 최근 구글에 빼앗긴 검색 시장을 되찾기 위해 자사 검색엔진 ‘빙’에 챗GPT를 넣으려 한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우려를 나타낸다. 검색엔진은 검색 결과의 진위를 이용자가 최종 판단할 수 있도록 조건에 따른 다양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챗GPT는 대화를 통해 자신이 제시한 검색 결과를 받아들이도록 유도하기 쉽다. 이용자가 이렇게 얻은 부정확한 정보를 퍼 나르고, 그렇게 유통된 정보를 다시 챗GPT가 학습해 다른 이용자에게 더 편향된 정보를 알려준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영국 재무장관이 챗GPT로 정책을 만든 같은 날, 공교롭게도 윤석열 대통령도 “챗GPT를 써보니 몇 개 단어만으로도 오랜 조력자처럼 문장이 나오더라”고 말해, 공직 사회에서 요즘 챗GPT ‘열공 바람’이 불고 있다고 한다. 조만간 제시어 몇 개를 챗GPT에 입력해 정책을 뽑아내고, 반대 진영은 그 내용을 또 챗GPT에 넣어 반박하는 ‘효율적’ 관행이 정치권에 자리 잡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때 남아도는 정치인을 대거 구조조정할 기회가 생길 텐데, 그걸 환영해도 될지 혼란스럽다.

정영오 논설위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