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군부대 시설 7곳 중 2곳은 해수면 상승에 운영 불가

입력
2023.01.30 09:30
8면
구독

청해부대 39진 '충무공이순신함'의 승조원들이 지난달 19일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에서 가족 등의 환송을 받으며 출항하고 있다. 부산=뉴시스

청해부대 39진 '충무공이순신함'의 승조원들이 지난달 19일 부산 남구 해군작전사령부 부산작전기지에서 가족 등의 환송을 받으며 출항하고 있다. 부산=뉴시스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할 경우 해수면 상승으로 우리 해군부대 시설 7곳 중 2곳이 침수돼 운영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정우송 해군 소령과 이재준 성균관대 방재안전공학과 연구원은 지난해 9월 한국해군과학기술학회지에 실린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이 해안 도시의 해군부대 시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해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진은 해군의 주요 부대 시설 7개소의 2021년 평균해수면에, 기상청의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0'에서 추정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를 적용해 향후 침수 위험을 분석했다.

기상청의 시나리오에 따르면 기후위기 대응에 실패해 현재 수준으로 온실가스가 배출될 경우(RCP8.5) 한국의 평균해수면은 2100년 65.0㎝ 상승한다. 온실가스를 일부 저감(RCP6.0)하거나 상당 수준 줄일 경우(RCP4.5) 해수면 상승은 47.7~48.1㎝로 완화된다.

RCP8.5 시나리오를 적용할 경우 2100년쯤 전남 목포의 3함대사령부와 제주 7기동전단은 해수면 상승으로 부대 운영이 불가능할 것으로 분석됐다. 3함대사령부의 2021년 평균해수면은 251.5㎝인데, 해수면이 65㎝ 더 상승할 경우 항만시설 및 부두가 잠기고 육상시설도 절반이 잠길 것이라는 예상이다. 7기동전단 역시 평균해수면이 168.3㎝로 육상시설 절반이 바닷물에 잠길 것으로 보인다.

연구진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전남 목포의 해군 3함대사령부는 해수면 상승으로 항만과 부두가 잠기고 육상시설도 절반이 물에 잠길 것으로 예상된다. 논문 캡처

연구진의 시뮬레이션에 따르면 전남 목포의 해군 3함대사령부는 해수면 상승으로 항만과 부두가 잠기고 육상시설도 절반이 물에 잠길 것으로 예상된다. 논문 캡처

경남 창원의 진해기지사령부의 경우 2021년 평균해수면이 101.7㎝로 해수면 65㎝상승 시 항만시설 및 부두가 잠긴다. 육상시설은 일부만 잠길 것으로 예상된다. 강원 동해 1함대사령부와 인천 해역방어사령부, 경기 평택 2함대사령부, 부산 작전사령부 등은 해수면 상승으로 항만시설 및 부두가 일부 잠기지만 육상시설은 이상이 없을 것으로 분석됐다.

온실가스 배출이 현재보다 더 늘어나는 시나리오(해수면 130㎝ 상승)를 적용할 경우 피해는 더 커진다. 인천·목포·제주의 해군부대 시설은 운영이 불가능하고 진해·동해의 시설은 육상시설 일부까지 잠길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진은 "실제 가장 위험한 상황은 여름철 해수면 상승 시기가 만조시기와 일치할 때 태풍으로 인한 해일이 발생하는 것"이라며 "20년 이상의 상승 추세를 분석하고 각 해군부대 시설의 구체적인 상황을 반영한 대책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혜정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