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주
<한국일보> 논설위원들이 쓰는 칼럼 '지평선'은 미처 생각지 못했던 문제의식을 던지며 뉴스의 의미를 새롭게 해석하는 코너입니다.
세계은행(WB)은 올해 세계경제가 2009년과 2020년을 제외하면 지난 30년 이래 가장 둔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0%(2022년 6월)에서 1.7%로 크게 낮춘 최근 경제전망을 통해서다.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성장률은 -1.3%였고,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은 2020년엔 -3.2%까지 곤두박질쳤다. WB는 올해가 그때만큼 나쁘진 않을 것이라는 수치를 내면서도 “지금 상황에 충격 하나만 추가돼도 경제는 침체로 향할 것”이라는 경고를 덧붙였다.
▦ WB의 전망은 경기침체 우려를 새삼 직시하게 한다. 특히 불과 6개월 만에, 한 나라도 아닌 세계 성장률 전망치를, 무려 1.3%포인트나 깎을 정도로 경제여건이 격동하고 있다는 점과, 단 하나의 충격만으로도 경기침체가 현실화할 정도로 불안한 상황임을 함께 일깨운다. 사실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대만해협 위기가 고조되면 상황은 지금보다 훨씬 악화할 수 있다. 아슬아슬한 동유럽이나 신흥국 상황이 금융위기로 발전해도 치명적 침체가 닥칠 수 있다.
▦ 다만 어떤 상황을 경기침체로 볼지는 국가별로 다소 차이가 있다. 미국에서 ‘리세션(recession)’은 통상 국내총생산(GDP)이 2분기 연속 0% 미만, 즉 마이너스 성장할 경우를 말한다. 하지만 근년 들어 미국경제연구소(NBER)는 성장률 외에 고용, 개인소득 등 별도 지표까지 감안해 침체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지난해 성장률이 2분기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음에도 강력한 고용을 이유로 경기침체 판단을 유보한 게 대표적 사례다.
▦ 반면, 우리나라에선 2분기 연속 실질 GDP 성장률이 감소하면 경기침체 상황으로 본다. 즉 플러스 성장을 해도 그 수치가 전년 동기 대비 2분기 연속 낮으면 침체로 여긴다. 하지만 경기침체냐 아니냐를 따지는 건 그저 이론일 뿐인지 모른다. 경기에 대한 실질 체감도는 경제주체별로 천차만별일 것이기 때문이다. 요즘처럼 물가가 치솟는 가운데 실질소득은 정체되고, 세금 등 각종 부담금이 증가하는 상황이라면 우리 국민 상당수는 이미 침체를 충분히 절감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