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잘못에 대한 반성에서 희망이 시작된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송구영신(送舊迎新), 묵은해를 보내고 또다시 새해를 맞이하고 있다. 신년을 맞이할 때면, 언제나 '새로운 희망'을 담은 덕담을 주고받으며, 지금보다 나은 밝은 미래를 꿈꾸게 마련이다. 하지만 불행하게도 오늘의 현실은 그렇지 못한 것 같다. 오늘을 걱정하고 내일을 불안해하는 사람들이 적지 않다. 그것은 아마도 우리 사회의 많은 분야에서 '합리성'과 '공정성'의 원칙이 깨어지고 있음을 목격하게 되고, 사회가 어떤 '방향성'을 가지고 원활하게 잘 돌아가지 않는다는 느낌을 마음 한편에서 지울 수 없기 때문이다. 교수신문에서도 작년 한 해를 대표하는 사자성어를 '논어'에서 "잘못을 하고서도 고치지 않는 것, 이것이 진정한 잘못이다"라고 한 '과이불개(過而不改)'로 선정한 이유일 것이다.
공자는 "잘못한 것이 있으면 고치기를 꺼리지 말라"(과즉물탄개·過則勿憚改)고 주문하고 있다. 살아가다 보면 크고 작은 실수와 잘못을 범하게 되고, 또한 의도하지 않은 불행한 재난에 직면하기 마련이다. 실수와 잘못, 그리고 재난의 원인을 감추거나 숨기려 하지 않고, 철저한 반성과 원인 분석을 토대로 정당하고 공정한 방법으로 개선하려는 의지와 노력을 기울일 때, 우리는 똑같은 실수와 잘못을 반복하지 않을 수 있고, 그러한 과정 속에서 현재의 고통과 시련을 극복할 새로운 희망을 말할 수 있다.
어떤 일이 본인의 의도와 달리 잘못되게 되면, 그 잘못된 원인을 남 탓으로 돌리고 싶고, 내부보다는 밖으로 일차적인 책임을 떠넘기고 싶은 충동을 쉽게 느끼게 된다. 그 충동을 이기지 못할 때, 우리는 같은 실수와 잘못을 반복하게 되고, 더 큰 불행을 자초(自招)하게 된다. 우리의 인생이란 바로 이러한 충동과의 싸움을 스스로 이겨내는 분투의 과정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자신과의 싸움을 이겨내고, 삶을 보다 의미 있게 이끌 주인공은 바로 자기 자신이라는 주체의식을 놓치지 말아야 한다. 이런 주체의식이 바탕이 될 때, 자신이 하고 있는 일에 대해 최선을 다하려는 책임감이 비로소 드러나게 된다. '논어'를 보면, 공자가 더불어 일하고 싶어 하는 사람은 앞뒤 가리지 않고 과감성과 용맹함만을 내세운 사람이 아니라, "어떤 일을 앞두고 (혹시나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까) 두려워하고, 계획을 잘 세워서 반드시 일을 성사시키려고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는(임사이구, 호모이성·臨事而懼, 好謀而成)" 책임감 있는 사람이다.
자신의 삶에 책임의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일이 잘못되었을 때, 그 일차적인 책임을 남에게 돌리려 하지 않는다. "군자는 자신에게서 잘못의 원인을 찾지만, 소인은 남에게서 찾는다(군자구저기·君子求諸己, 소인구저인·小人求諸人)"라고 공자가 말한 이유이다. 군자와 소인이 구분되는 지점은 사회적 지위의 높고 낮음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삶에 대한 책임의식의 유무에서 찾는다. 그 지위에 합당한 책임의식을 가지고, '공동선'을 실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 많아지도록 노력해야 할 시점이다. 새로울 '신(新)'이란 한자는 매울 신(辛), 나무 목(木), 그리고 도끼 근(斤)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떤 새로운 물건을 만들기 위해서는 나무를 매섭게 자르고 깎아내어 잘 다듬어야 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신년 벽두에 서서, 나는 나를 새롭게 하기 위하여 내 자신을 얼마나 담금질하고 있는지를 다시금 돌아보게 된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