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여성암 1위' 유방암 환자, 재발 억제 항호르몬제 먹어도 우울증 위험 없어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 1위 암'인 유방암 환자가 암 재발을 줄이는 항호르몬제를 복용해도 우울증 위험이 거의 없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유방암 대다수(70~80%)를 차지하는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환자는 암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항호르몬제를 복용하는데, 이전 연구들에서 항호르몬을 먹으면 우울증에 걸릴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하지만 실제 국내 여성 유방암 수술 환자를 조사한 결과, 약 복용에 따른 우울증 진단, 약 처방, 자살 건수에서 차이가 없다는 것이다.
윤창익(교신 저자) 서울성모병원 유방외과 교수팀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데이터를 이용해 유방암 수술 환자에서 항호르몬 치료에 따른 우울증 발생 및 자살 위험에 대한 평가를 14년간 연구한 결과다.
약 복용에 따른 우울증은 약 복용 순응도에 대한 저하 요인이며 생존에 불량한 요인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항호르몬제와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호르몬제를 복용한 환자 1만1,109명과 복용하지 않은 환자 6,615명을 변수 보정 전후로 나눠 연구한 결과, 우울증 진단 및 자살 위험 모두 복용 유무에 따른 우울증 발생 위험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윤창익 교수는 “유방암 재발률을 줄이기 위해 항호르몬제 복용은 필수적인데, 이에 대한 과도한 우려를 줄일 수 있다는 점이 연구의 의의”라고 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프론티어스 인 온코로지(Frontiers in Oncology)’에 최근 실렸다.
여성의 36%가 평생 한 번 이상 암에 노출된다(2019년 국가 암 등록 통계). 이 가운데 유방암이 가장 많고 전체 여성에서 발생하는 암의 20.6%를 차지한다. 매년 2만~3만 명 정도의 유방암 환자가 발생한다. 전체 신규 여성 암 환자 12만538명(2019년 기준) 가운데 2만4,820명(20.6%)이 유방암이었다.
유방암은 호르몬(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와 HER2, Ki-67(세포 안 단백질) 발현 정도에 따라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 ‘HER2 양성(+) 유방암’, 2가지 호르몬과 HER2 모두 갖고 있지 않은 ‘삼중 음성(-) 유방암’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호르몬 수용체 양성 유방암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에 단백질이 결합된 에스트로겐 수용체와 프로게스테론 수용체를 발현하는 암으로, 전체 유방암의 70~80%를 차지한다.
유방암에 걸리면 수술하고 수술 후 유방암 재발을 줄이기 위해 5~10년간 호르몬을 억제하는 것이 현재 표준 치료법이다.
호르몬 치료의 가장 큰 장점은 자주 재발하는 유방암 재발률을 3분의 1 정도 감소시킨다는 점이다. 항암 치료보다 호르몬 치료가 삶의 질 측면에서 좋다.
수술 후 환자 상태에 따라 호르몬 치료와 항암 치료를 병행하기도 하므로 담당 의사와 상의해 환자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법을 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