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쓰레기 대란 막고 에너지 얻는 소각장... 주민 친화 문화공간으로 인식 바뀌어야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잖아도 심각했던 쓰레기 문제가 코로나19 이후 더욱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쓰레기 문제는 생태계 파괴뿐 아니라 주민 간, 지역 간, 나라 간 싸움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쓰레기 박사'의 눈으로 쓰레기 문제의 핵심과 해법을 짚어 보려 합니다. '그건 쓰레기가 아니라고요' '지금 우리 곁의 쓰레기'의 저자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장이 <한국일보>에 2주 단위로 수요일 연재합니다.
쓰레기 처리의 어려움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쓰레기 발생량은 급증하고 있고 처리시설 확충은 지지부진하다. 2026년부터 수도권 지역 생활쓰레기 매립이 금지되고, 2030년부터는 전국으로 확대된다.
매일 7,000톤의 쓰레기가 전국에서 매립되는데 이 중 1,000톤이 서울에서 나온 쓰레기다. 이 추세대로라면 수도권 매립지는 2027년쯤 다 찰 것이다. 전국으로 확대하면 2025년 이전에 매립지 18곳의 수명이 다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 중 6곳은 대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매립지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면 전국이 쓰레기 대란의 공포에 직면하게 될지 모른다.
매립을 줄일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쓰레기 발생을 원천적으로 줄이고 재활용률을 늘리는 것이지만 단기간에 달성하기 어렵다. 생산과 소비 시스템의 전면 전환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가장 현실적인 대안은 쓰레기를 태워서 에너지를 회수할 수 있는 시설이다. 에너지 회수 설비를 갖춘 소각장 용량을 확대하거나 전처리 시스템을 통해 탈 수 있는 쓰레기를 걸러 내어 따로 처리해야 한다.
그런데 쓰레기를 태우는 시설을 짓기가 쉽지 않다. 쓰레기를 태워 나오는 에너지를 이용할 수 있는 산업시설이나 주거지 가까운 곳은 더더욱 어렵다. 주민 반대가 없는 외진 곳으로 가야 하는데 이런 곳은 에너지 이용이 어렵다. 아까운 에너지를 그냥 날려 보내야 한다. 점증하는 에너지 위기를 고려하면 안타까운 일이다.
쓰레기 처리 대란과 에너지 위기를 모두 막으려면 소각장이 기피와 격리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굴뚝에서 시커먼 연기를 뿜어내는 낙후된 소각장 이미지에서 하루 빨리 벗어나야 한다. 현대 최신 소각장은 복잡한 연소공학과 오염물질 방지기술이 적용된 최첨단 시설이고, 지금도 계속 기술이 발전하고 있다.
과거 오염방지 시설이 제대로 갖춰지지 않았던 소각장 주변에서 건강 피해나 환경오염이 일어나기도 했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하면서 오염물질 배출은 크게 줄었다. 다이옥신의 경우 2001년 대비 2011년에 무려 95%가 감소했다. 현대적인 오염방지시설을 갖춘 소각장의 경우 다이옥신 배출은 거의 0에 가깝다. 민간소각장은 최근 대규모 대기업 투자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최적 운영기법을 도입해 일산화탄소를 50%, 질소산화물을 12% 줄였다. 제대로 된 시설이라면 주변에 미치는 환경 영향은 우려할 정도로 크지 않다. 공포에 눌릴 필요가 없다.
소각장에 대한 주민 거부감은 단기간에 없어질 수는 없다. 그렇다고 현재와 같이 부정적 이미지를 그대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 누구나 방문해 스키도 타고 야외 수영장에서 물놀이도 하고 소각장 굴뚝 레스토랑에서 도시 전경을 감상하면서 식사도 할 수 있는, 주민들에게 친숙한 문화공간으로 다가가야 한다.
우리 가족도 소각장 주변에서 15년째 살고 있다. 사람도 그렇고 시설도 그렇고 제대로 된 것이라면 자주 접하다 보면 친숙해진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