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종류의 외국인 환자

입력
2022.11.20 22:00
27면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외국에서 온 분들을 가끔 진료한다. 언어와 정서가 비슷한 우리나라 분들을 진료하다가 외국인을 보면 아무래도 긴장을 더 하게 된다. 굳이 부류를 나누자면 인근에 거주하는 이주 노동자, 영어 선생님, 그리고 의료목적 단기 방문자분들이다.

인근 공장 지대나 농촌에서 일하는 외국인 노동자들은 아프고 위축된 표정으로 방문한다. 대부분 한국인 관리자와 동행하는데, 직원이 진짜 아픈 건지 연기를 하는 것인지 반신반의하는 눈길을 보낸다. 나에게는 이런 묘한 긴장 관계가 익숙한데, 군의관 시절에 군대 의무실에서 숱하게 봤던 기억 때문이다. 의무실-병원이라는 공간에서 병사의 말을 믿지 않는 간부와 불안한 눈빛의 병사가 한데 엮이는 묘한 상황극. 사실 내가 겪어본 노동자들은 실제로 아픈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사장님 눈치를 보느라 그랬는지 제때 치료받지 못해서 병을 키워서 온 환자도 있었다. 이분들은 모국어보다는 한국어를 쓰는데, 그 용법에 특징이 있다. 문장이 짧고, 존댓말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이다. 아마도 말을 주고받았던 한국인들에게서 존댓말을 잘 들어보지 못해서, 배웠던 말 그대로 돌려주는 것이리라. 말은 그렇더라도 내가 겪어본 바로는 그들은 심성이 착하고 노동에 대한 동기부여가 충분했다.

진료실에서 영어 선생님들도 적잖게 만나봤다. 이들은 대개 도시 지역에서 산다. 주로 북미에서 온 분들로 한국에 온 사연은 제각각이다. 어떤 선생님은 엑소라고 하는 글로벌 보이그룹의 열성적인 팬으로 우리나라에 왔다가 아예 눌러앉게 됐다고 했다. 의사 표현은 남김없이 정확하게 하는 편으로 태도는 당당하다. 남자들의 경우에는 악수를 먼저 청하고 의사와 수평적인 관계 맺기에 익숙하다. 진료 초반에 예의상 영어를 알아듣는 척 제스처를 하는 날이면, 이해가 잘 안 되는 채로 들어야 하는 영어가 길어지고, 그에 따라 진료 시간도 하염없이 늘어진다. 한 가지 뿌듯한 것은, 우리가 늘 부러워하는 선진국에서 온 사람들이지만, 수술받아야 하는 병을 진단받고도 고국으로 가지 않고 여기서 치료받기를 원한다는 것이다. 수술 대기에 몇 달은 걸린다는 영국은 물론이고, 미국 분들도 마찬가지다. 저렴하고, 빠르며, 효율적인 K의료에 대한 신뢰가 깊은 것 같다.

마지막 그룹은 외국에서 진단과 치료를 위해 일부러 우리나라에 온 분들이다. 국제진료라고도 하고 의료관광이라고도 불린다. 병원마다 국제진료센터나 외국인 환자 진료센터라는 이름의 조직이 있고, 주요 외국어 통역 서비스가 제공된다. 중동이나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많이들 온다. 이분들은 경제적으로 여유가 많아 비용이 꽤 비싼 1인실이나 특실을 주로 쓰는데, 작은 수술이라도 한국에서 하기를 원한다. 지자체에서도 외국인 환자 유치를 위해 노력을 많이 하는 것 같은데, 2021년 경기도 기준으로 2만5,100명의 환자가 다녀간 것으로 집계된 기사를 보았다. 건강검진 프로그램도 병원마다 경쟁적으로 잘 준비되어 있어서 하루에 검진받고, 필요한 진료를 연계해준다고 한다.

말이 잘 안 통하는 다른 나라에서 그것도 병원이라는 낯선 공간에서 진료와 수술을 받는 느낌이 어떤 것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확실히 무서운 경험일 것이다. 모쪼록 우리나라를 방문한 아픈 분들, 가성비 좋은 K의료를 따뜻하게 경험하고 잘 회복해서 돌아갔으면 한다.


오흥권 분당서울대병원 대장암센터 교수·'의과대학 인문학 수업' '타임 아웃' 저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