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서울아산병원 간이식 30년간 8,000건 달성 ‘새 역사’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간암을 앓는 이모(47)씨는 서울아산병원에서 지난 9월 23일 생체 간이식 수술을 받았다. 이씨 아들(18)이 아픈 아버지를 위해 간을 기증하기로 했다. 서울아산병원 장기이식센터 간이식팀은 아들의 간 일부를 떼어내 아버지에게 이식하는 데 성공했다. 이날 수술은 이 병원의 8,000번째 간이식 수술로 기록됐다. 간이식을 받은 이씨는 무사히 회복해 최근 퇴원했다.
서울아산병원은 “1992년 뇌사자 간이식을 시작으로 지난 9월 말 기준 생체 간이식 6,658건, 뇌사자 간이식 1,342건 등 8,000건의 간이식 수술을 시행했다”고 14일 밝혔다.
의료기관 한 곳에서 8,000번의 간이식 수술을 달성한 건 세계적으로도 처음 있는 일이다.
서울아산병원은 “최근 몇 년간 코로나19 유행이 극심한 상황이었음에도 감염 관리를 철저히 해 연 500건이 넘는 간이식 수술을 안전하게 시행해왔다”며 “수술 성공률은 98%로 세계에서 가장 우수한 성적을 자랑한다”고 했다.
서울아산병원에에서 수술받은 국내 간이식 최장기 생존자(1992년 당시 42세), 국내 첫 어린이 생체 간이식 환자(1994년 당시 9개월), 국내 첫 성인 생체 간이식 환자(1997년 당시 38세), 세계 첫 변형 우엽 간이식 환자(1999년 당시 41세), 세계 첫 2대 1 간이식 환자(2000년 당시 49세) 등이 모두 건강하게 살고 있다.
서울아산병원 관계자는 “말기 간 질환 환자에게 장기 생존과 높은 삶의 질을 보장하기 위해 불모지와 다름없던 간이식에 과감히 뛰어들었다”며 “더 많은 환자를 살리려는 노력을 이어가며 누구도 시도하지 못한 새로운 수술법을 세계 간이식계에 제시해 왔다”고 했다.
이승규 서울아산병원 간이식ㆍ간담도외과 석좌교수가 1991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변형 우엽(간의 오른쪽 부분) 간이식’은 현재 전 세계 간이식센터에서 표준 수술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변형 우엽 간이식은 이식되는 우엽 간에 새로운 중간 정맥을 만들어 우엽 간 전(全) 구역의 피가 중간 정맥을 통해 잘 배출되도록 하는 수술법이다. 한 해 30건에 그치던 생체 간이식이 이 수술법 도입 후 100건을 넘겼고 수술 성공률도 70%에서 95% 이상으로 뛰었다.
이승규 교수가 2000년 세계 최초로 고안한 ‘2대 1 생체 간이식’은 간 기증자와 수혜자의 범위를 넓혔다. 기증자 2명으로부터 간 일부를 받아 수혜자에게 이식하기 때문에 기증자 간의 좌ㆍ우엽 비율이 기준에 맞지 않거나 심각한 지방간이어도 간이식이 가능해졌다. 그동안 600명이 넘는 환자가 이 수술법으로 새 삶을 얻었다.
서울아산병원에서 이뤄지는 간이식의 85%는 생체 간이식이다. 이는 뇌사자 간이식보다 수술이 까다롭고 합병증 발생 위험도 크다고 알려져 있다.
서울아산병원 관계자는 ”수술 성공률이 매우 낮은 중증 환자들을 마다하지 않았는데도 간이식 생존율이 98%(1년), 90%(3년), 89%(10년)로 매우 높다“며 ”우리나라보다 간이식 역사가 깊은 미국의 피츠버그 메디컬센터와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메디컬센터의 간이식 후 1년 생존율이 평균 92%라는 점을 고려하면 우수한 수치“라고 설명했다.
지난 2017년에는 생체 간이식 환자 361명이 모두 생존해 꿈의 수치인 ‘사망률 0%’를 달성하기도 했다. 최근 10년간 시행한 어린이 생체 간이식 생존율은 99%에 달한다.
면역학적 고위험군인 ABO 혈액형 부적합 생체 간이식은 서울아산병원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시행하고 있으며, 혈액형 적합 간이식과 대등한 성적을 보인다.
서울아산병원은 간 기증자 안전을 지키기 위한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어오고 있다. 복강경과 최소 절개술을 이용한 기증자 간 절제술은 기증자들의 회복 기간을 단축하고 흉터를 최소화하여 삶의 질을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서울아산병원의 생체 간이식 기증자 중 사망하거나 심각한 합병증이 발생한 사례는 한 명도 없었다.
최근 국내 간이식 환자의 45%가 간암을 동반한 환자다.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은 간이식 후 간암의 재발 가능성을 현저히 낮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식 전 간암 병기를 낮추는 ‘다운 스테이징’을 철저히 진행하고, 수술 중에는 간암이 주위 장기나 혈액을 통해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해 암세포를 건드리지 않고 안전하게 제거하는 ‘노터치 테크닉’을 적용하고 있다.
이런 성과는 세계 의학계에도 널리 알려졌다. 1955년 ‘미네소타 프로젝트’로 우리나라 의사들에게 선진 의술을 전파했던 미국 미네소타대병원이 2015년 서울아산병원의 생체 간이식을 배우고 싶다며 협력을 요청해 오기도 했다.
서울아산병원은 아시아 국가의 의료 자립을 돕기 위해 간암 발생률 최상위 국가인 몽골과 베트남에 2011년부터 간이식을 전수해 왔다. 서울아산병원 의료진 50여 명이 연 2~4회씩 두 나라를 방문해 현지 의료진을 양성했고 현지 의료진 250여 명이 서울아산병원에서 교육을 받았다.
그 결과, 몽골 국립 제1병원과 베트남 쩌라이병원, 호치민대병원에서 간이식을 독자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됐다. 의술 전수 대상 국가를 넓혀 △2001년 터키 최초 성인 생체 간이식 △2004년 프랑스 최초(유럽 최초) 2대 1 생체 간이식 △2006년 터키 최초 2대 1 생체 간이식 △2016년 중동 카타르 최초 성인 생체 간이식 △2019년 카자흐스탄 최초 2대1 생체 간이식을 성공시켰다.
이승규 석좌교수는 “서울아산병원 간이식팀이 간이식 불모지에서 차곡차곡 수술 기록을 쌓아 8,000례까지 이를 수 있던 배경에는 단단한 팀워크가 자리해 있다”고 했다.
이 석좌교수는 “죽음의 기로에 섰던 많은 환자들이 우리의 도전에 큰 용기로 응했으며 모범적인 건강관리로 간이식 역사에 좋은 이정표가 되었기에 간이식에 더욱 전념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많은 간 질환 환자들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