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 사기꾼이 아니었네"...중국·이란 공작에 이용당한 미국 사설탐정들

입력
2022.11.14 19:00
17면
구독

중국·이란, 사설탐정 고용해 반체제 인사 사찰
미국 사설탐정들, 내용 모르고 중국·이란 도와
"저비용, 저위험의 새로운 테러" 평가도

지난달 31일 영국 런던에 있는 이란 대사관 앞에서 이란 반정부 시위에 동참하는 시위대가 바닥에 누운 채 시위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지난달 31일 영국 런던에 있는 이란 대사관 앞에서 이란 반정부 시위에 동참하는 시위대가 바닥에 누운 채 시위하고 있다. AP 연합뉴스

#미국에서 사설탐정으로 일하는 마이클 맥키버(71)는 2020년 7월 온라인 웹사이트를 통해 뉴욕 브루클린에 사는 이란인 여성을 감시해달라는 의뢰를 받았다. 아랍에미리트(UAE)에서 많은 빚을 지고는 해외로 도망친 사기꾼이라는 설명이었다. 그는 의뢰 대가로 6,000달러(약 800만 원)를 받기로 하고 이후 집 주변에 잠복해 그의 일거수일투족을 살폈다.

하지만 나중에 알고 보니 해당 여성은 이란의 인권 유린 등을 비판해 온 이란계 미국인이자 유명 언론인인 '마시 알리네자드'였다. 그는 이란에서 살해 위협에 시달리다 2009년 미국으로 망명했고, 이후 미 연방수사국(FBI)의 보호를 받아왔다. 맥키버는 "나는 철저하게 이용당한 것"이라며 "의뢰 고객은 이란 정보요원이었다”고 말했다.

이란과 중국 등 여러 국가들이 미국 내 사설탐정을 고용해 반(反)체제 인사를 사찰하고 있다고 미 뉴욕타임스(NYT)가 13일(현지시간) 전했다. 온라인으로 사건을 접수받는 사설탐정들은 고객의 정체와 의뢰 내용을 정확히 알지 못해 자신도 모르는 사이 이들 국가의 공작활동에 이용되고 있었다.

보도에 따르면 지난 2년간 미 뉴욕주(州)와 캘리포니아주, 인디애나주 등에서 사설탐정들이 해외 국가들의 공작활동에 연루된 사례가 잇따라 발생했다. 전직 뉴욕 경찰인 마이클 맥마흔(55)의 경우엔 사설탐정으로 일하다 중국 공작활동에 연루돼 2020년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다. 그는 중국 건설회사에서 횡령한 중국인이 뉴욕 근처의 뉴저지로 도망갔다며 이를 확인해달라는 의뢰를 받았다.

맥마흔은 이후 해당 중국인을 찾아내 감시했고, 의뢰인의 요청에 따라 그에게 귀국도 종용했다. 그런데 이는 중국 당국이 미국으로 망명한 반체제 인사를 자국으로 강제 송환하려는 작전의 일부분이었던 것으로 FBI 조사 결과 드러났다. 맥마흔은 “중국 정부를 위해 일하는 줄 전혀 몰랐다”며 체포된 사실에 억울해했다.

NYT는 사설탐정을 이용하면 자국 정보요원들이 발각될 위험이 적은 데다 비용도 적게 든다고 설명했다. 미국 외교협의회(CFR) 방첩 전문가인 브루스 호프만은 “중국과 이란 등은 사설탐정을 고용해 미국 내 감시 대상자의 거주지와 사회보장번호, 직장주소 등까지 알아낸다”며 “저비용·저위험 방식의 21세기 국가 테러리즘”이라고 전했다.

FBI는 미국 내 사설탐정들에게 의뢰 내용과 관련한 주의를 촉구하고 나섰다. 의뢰 내용에서 사생활 감시는 물론 방문객들의 동향, 자동차 번호판, 우편함에 있는 봉투 등까지 확인을 원할 경우 그 의도를 우선 의심해봐야 한다는 것이다. FBI의 대테러 부서 요원인 로만 로자브스키는 “사설탐정들은 의뢰인을 보호한다는 명목하에 많은 걸 알려 하지 않는다"며 "의뢰 내용에서 공작에 연루됐다는 위험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법을 배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현우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