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북한이 러시아와 '무기 커넥션' 의혹에 펄쩍 뛰는 이유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 또다시 펄쩍 뛰었다. 미국이 북한과 러시아의 '무기 거래설'을 제기하자 강력 부인하며 맞섰다. 9월에 이어 두 번째 공개 반박이다.
러시아는 유엔 안보리 등에서 중국과 함께 북한을 두둔하는 몇 안 되는 국가다. 자연히 북한과 갈수록 정치적으로 밀착하고 있다. 그럼에도 북한으로서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와 엮이는 건 적잖은 부담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내주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에서 국제사회가 북한을 성토하는 최악의 상황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의도도 엿보인다.
조선중앙통신은 8일 "우리는 러시아와 '무기 거래'를 한 적이 없으며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는 것을 다시 한번 분명히 밝힌다"는 내용의 북한 국방성 군사대외사업국 부국장 담화를 전했다. 북한은 9월 22일에도 국방성 장비총국 부국장 담화를 통해 "러시아에 무기나 탄약을 수출한 적이 없고 앞으로도 그럴 계획이 없다"고 못 박았다.
이날 담화는 2일(현지시간)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이 "북한이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전쟁을 위해 상당한 양의 포탄을 은닉해 제공했다는 정보가 있다"고 주장한 것에 대한 맞대응으로 나왔다. 앞서 9월 북한과 러시아의 연루 의혹을 제기한 건 미국 언론이었다.
따라서 북한이 잇따라 정색하며 반발하는 건 미국과의 힘겨루기 성격이 짙어 보인다. 북한이 핵·미사일 위협수위를 높이는 상황에서 미국에 밀려서는 안 된다는 절박함마저 묻어난다.
이에 북한 국방성은 "불법무도한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에 걸어 국제무대에서 우리 공화국에 대한 시각을 흐려놓으려는 적대적 기도"라고 강변했다. 미국이 북한을 향해 부당한 공격을 일삼고 있다고 받아친 것이다. 9월 말부터 포와 미사일을 쏘며 무더기 도발을 퍼부으면서도 한미의 방어훈련에 책임을 돌린 것과 같은 맥락이다.
러시아는 우크라이라 침공 이후 국제사회에서 '공공의 적'이나 마찬가지다. 이런 러시아와 지나치게 엮인다면 도매급으로 지탄받을 수 있다. 북한 입장에서 결코 달갑지 않은 상황이다.
자칫 북한이 주장해온 핵개발의 정당성이 퇴색할 수도 있다. 북한은 자주국방을 기치로 외세의 위협에 맞선다는 명분을 내세워 핵능력을 확충해왔다. 그런데 전범국이나 마찬가지인 러시아를 북한이 군사적으로 지원한다는 건 앞뒤가 맞지 않기 때문이다. 북한이 핵보유국 지위를 인정받아 미국과 협상에 나서려는 상황에서 파렴치한 국가로 낙인찍혀 향후 대미 대화 자체가 막히는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북한은 미국과 러시아·중국이 맞서는 신냉전 구도에 편승하면서도 국제사회에서 운신의 폭을 좁히지 않기 위해 치밀하게 주판알을 튕기고 있는 모양새다.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는 "북한은 전통적으로 원하지 않는 분쟁에 연루돼 자주권이 훼손되는 것에 대한 부담이 있다"며 "중러 두 나라와도 지나치게 의존하는 데엔 부담이 굉장히 강하다"고 분석했다. 이어 "자주국가(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의 결정은 북한이 미국을 상대로 반대해온 원칙이라는 점도 부담"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국방성을 내세운 북한이 당분간 외교적으로 항변하는 데 주력할 가능성이 적지 않다. 특히 15, 16일 인도네시아 발리 G20 정상회의에서 대북 압박이나 비난성명이 핵심 의제로 다뤄지는 최악의 상황은 피해야 하는 처지다.
북한 외무성도 가세하고 나섰다. 그러면서 유엔 사무총장을 거론했다. 김선경 외무성 국제기구담당 부상은 이날 담화를 통해 4일(현지시간) 북한 탄도미사일 도발 규탄 성명을 발표한 안토니오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을 '미 백악관이나 국무부 대변인'에 빗대며 "정당한 자위적 대응조치를 함부로 걸고들었다"고 비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