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도발 묵과 못 해" 잇단 도발에 與 '강공모드'···보수 결집 노림수?

입력
2022.11.03 16:00
구독

정 위원장 "확고한 대비태세 갖추고 결연한 대응"
與 당권 주자들도 ′전술핵 재배치′ 등 강경 대응책

한일의원연맹 회장인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43차 한일·일한의원연맹 합동총회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한일의원연맹 회장인 정진석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오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43차 한일·일한의원연맹 합동총회에 앞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뉴시스

국민의힘은 3일 북한이 잇따라 탄도미사일을 발사하며 무력도발 수위를 끌어올리고 있는 것과 관련해 "결연하게 응징해야 한다"며 강경대응을 주문했다. '이태원 핼러윈 참사'로 윤석열 정부 재난안전 지휘체계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전통적 보수층이 민감하게 여기는 대북안보 이슈를 내세워 지지층을 결집하려는 시도로 해석된다.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서울 명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43차 한일ㆍ일한의원연맹 합동총회 전 가진 기자회견에서 "어제(2일) 북한은 분단 이후 처음으로 북방한계선(NLL) 이남으로 탄도미사일을 발사했고, 오늘 새벽에도 중장거리 미사일을 또다시 발사했다"며 "(북한 도발을) 묵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의 이러한 잇단 도발에 대해 우리는 확고한 대비태세를 갖추고 결연한 대응을 보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은 미국의 핵우산 강화에 관한 논의도 필요하다고 봤다. 그는 "북한은 핵개발에 전념했고, 백화점식 핵무기를 나열해 과시하는 지경에 이르렀는데 우리만 무장해제한 꼴"이라며 "확장억제는 (미국이) 핵우산을 제공해야 한다는 개념이다. 핵우산 제공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으로 마련될 것인지는 한일 간 현실성과 실효성, 신뢰성을 담보한 구체적인 대화가 진전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당권주자들은 독자 핵무장, 전술핵 재배치 등 대북 강경대응 방안을 제시했다. '한국형 핵공유'를 내건 유승민 전 의원은 전날 서울 건국대에서 열린 특강에서 "우리가 미군과 같이 하든지, 자체적으로 하든지 북한의 핵과 미사일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가져야 북한 도발 억지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김일성, 김정일, 김정은 3대로 내려오는 게임 체인저를 우리도 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기현 의원은 페이스북에 "미친 깡패에게는 훈계가 아니라 몽둥이가 필요하다"며 "한미연합훈련을 더 강도 높게 실시해 대북억지력을 키우고 북한 무력 도발에 타협이 없다는 분명한 힘을 보여줘야 한다"고 적었다. 이어 "궁극적으로는 핵무장을 통해 공포의 균형을 이뤄야만 이 나라의 자유와 평화를 지킬 수 있다"고 했다.

조경태 의원은 전술핵 배치를 반대하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에게 "전술핵 재배치를 비롯한 대한민국의 핵무장에 대해 정식 공개토론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윤상현 의원은 "문재인 정부 대북정책의 완벽한 실패"라고 날을 세웠다.

국민의힘은 이날 오전 예정됐던 북한 미사일 도발 대책 논의를 위한 당정협의회도 취소했다. 북한 도발에 대한 군 당국의 기민한 대응이 필요하다는 판단에서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북한의 미사일 도발에 대응해야 하는 인원을 여기 부르는 게 맞지 않다. 일단 대응부터 하라고 했다"고 말했다.



김민순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