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 "네트워크망 교란, 유사시 국가안보에도 치명적"

입력
2022.10.16 17:00
수정
2022.10.16 18:15
2면
구독

尹 "카카오·네이버 사태 무겁게 느껴…원인 파악 철저히"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1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서재훈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카카오톡 등 서비스 장애 사태와 관련해 “국민께서 겪고 계신 불편과 피해에 대해 매우 무겁게 느끼고 있다”고 밝혔다. 전 국민이 사용하는 온라인 플랫폼 카카오톡 등이 장시간 ‘먹통’이 된 것과 관련해 정부와 민간 차원의 재점검을 요구하면서다. 특히 대통령실은 이번 사태가 민생뿐 아니라 유사시 국가 안보에 치명적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강도 높은 보안책을 주문했다.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에 따른 카카오 서비스 장애 사태가 장기화하자 윤 대통령은 이날 “현재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실장 중심의 상황실을 장관 주재로 격상해 지휘하라”고 지시했다고 김은혜 홍보수석이 전했다.

윤 대통령은 “(전날 발생한) 카카오, 네이버 등 디지털 부가서비스 중단으로 우리 국민께서 겪고 계신 불편과 피해에 대해 매우 무겁게 느끼고 있다”며 “카카오 등이 책임 있고 신속한 서비스 복구를 하도록 정부 부처도 노력을 다해 주기를 당부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정확한 원인 파악은 물론, 트윈 데이터센터 설치 등을 포함한 사고 예방 방안과 사고 발생 시 보고, 조치 제도 마련도 철저히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번 사태가 단순히 국민 불편뿐 아니라 국가적 차원의 피해로 연결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김 수석은 브리핑에서 “초연결 사회에서 데이터 통신 인프라는 국가 안보와 국민 생활에 직결된다”며 “네트워크망 교란은 특히 유사시 국가안보에도 치명적”이라고 지적했다. 최근 북한의 수위 높은 도발이 이어지는 상황을 감안할 때, 국민의 일상과 밀접히 연관돼 있는 온라인 플랫폼이 장시간 ‘먹통’이 되는 것은 안보 위기 시 치명적일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화재로 인한 서비스 장애 이후 복구에 오랜 시간이 걸리고 있다는 점도 대통령실은 지적했다. 김 수석은 “최근 전 세계 IT 선도국가들과 글로벌 기업들이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할 때 가장 중요한 요소로 꼽는 것이 회복 탄력성”이라며 “긴급 상황 때 원상태로 되돌리는 것이 기업의 책무이자 사회적 약속”이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와 함께 민관 협력을 통해 안전 및 조치 의무를 재점검하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현재 벌어지고 있는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복구와 수습에 정부가 총력을 다해 지원할 것을 당부했다"고 말했다.


김현빈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