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아랍의 봄' 발상지 튀니지, 민주화 혁명 성과 거덜 났다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아랍의 봄' 발원지인 튀니지의 민주화 혁명 성과가 11년 만에 껍데기만 남게 됐다. 국가 파산이 거론될 정도로 경제난이 극심하고, 경제 위기 극복을 위해 국민이 선택한 독재 리더십은 퇴진 압력을 받고 있다.
15일(현지시간) AFP통신에 따르면, 튀니지 야당인 전국해방전선(NSF)과 자유데스투리안당(PDL)의 주도로 모인 2,500여 명은 카이스 사이에드 대통령의 사퇴를 요구했다. 올해 7월 국민투표에서 사이에드 대통령의 독재 개헌을 수용했지만, 경제가 반등하지 못하자 등을 돌린 것이다. 시위에 참여한 헨다 벤 알리는 "사이에드는 실패한 독재자이고, 우리를 과거로 퇴보시켰다"며 "튀니지는 피 흘리고 있다"고 말했다.
2011년 민주화 혁명 성공 이후 튀니지는 제대로 웃지 못했다. 새 집권세력이 부패와 경제난 해소라는 혁명의 뜻을 이어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연간 물가상승률은 역대 최대인 9.1%를 기록했다. 인구 1,200만 명 중 3분의 1은 빈곤선 아래로 떨어져 설탕, 식수 등 생필품을 배급에 의존하고 있다. 정부는 19억 달러(약 2조7,400억 원) 규모 구제금융을 받기 위해 국제통화기금(IMF)과 협상 중이다.
극심한 빈곤은 '아랍권 민주주의의 모범'으로 불리던 튀니지를 독재 체제로 퇴보시켰다. 민심은 사이에드 대통령에게 마지막 희망을 품었다. 대통령에게 의회 해산권과 군통수권 등을 부여하는 개헌안을 국민투표에서 94.6%의 찬성률로 통과시켰다. 아랍권 연구기관인 '아랍 바로미터'는 "권위주의 정치 문화를 신뢰해서가 아니라 민주주의가 경제 분야에서 실패했다고 믿었기에 그런 선택을 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경제난이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자 결국 반정부 시위가 폭발했다. 수도 외에 동부 자르지스 등 빈곤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에서 시위가 몇 주간 계속되고 있다. '아랍의 봄' 슬로건이었던 "우리는 정권 퇴진을 원한다"도 다시 등장했다. 15일 시위 진압을 위해 출동한 경찰이 최루탄을 쏘고 시위대가 돌을 던지는 등 무력 충돌도 발생했다. 시위에 동참한 알리 라라예드 전 총리는 "사이에드 대통령이 권력을 유지하는 한 튀니지에 미래는 없다"며 "곧 사태가 폭발할 것으로 보인다"고 로이터통신에 말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