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고물가·고환율 파고에, 10년 만에 3% 고금리 시대 열렸다

입력
2022.10.12 17:00
수정
2022.10.12 18:57
1면
구독

한은 금통위 역대 두 번째 '빅스텝'
물가, 환율 비상에 초유의 5연속 인상
"최종 금리 3.5% 수준... 불확실성 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인상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기준금리 인상 배경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한국은행이 12일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밟았다. 7월에 이은 역대 두 번째 빅스텝이다. 한은이 다섯 차례 연속 금리를 올린 건 이번이 처음이다. 10년 만에 '기준금리 3% 시대'를 연 한은은 최근 급등한 환율로 비상이 걸린 물가가 더 뛸 수 있는 만큼 금리를 더 올리겠다고 예고했다.

7월 이어 추가 빅스텝 초강수... 왜?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이날 빅스텝을 통해 연 2.5%인 기준금리를 3%로 끌어 올렸다. 기준금리가 3%대가 된 건 2012년 10월 이후 10년 만이다. 금통위가 잇따라 다섯 차례(4·5·7·8·10월) 금리 인상에 나선 결과다. 이날 빅스텝 결정이 만장일치는 아니었다. 금통위원 2명(주상영·신성환 위원)은 금리 인상폭이 0.25%포인트에 그쳐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이창용 총재는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가파른 금리 인상 과정에서 국민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음을 잘 알고 있다"며 "경제 전반의 더 큰 손실을 막기 위해선 불가피한 결정"이라고 말했다.

한은 금통위가 석 달 만에 추가 빅스텝이란 강수를 둔 건 물가 오름세가 좀처럼 꺾이지 않는 상황에서 고환율 대응이 시급하다는 판단이 크게 작용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5.6%)은 8월(5.7%)에 이어 두 달 연속 낮아졌지만, 한은은 물가가 당분간 5~6%대의 높은 오름세를 지속할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가파른 상승 곡선을 그린 환율이 물가를 추가로 자극할 조짐을 보이고 있는 데다, 자본 유출 압력까지 높이고 있어 통화정책 대응의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었다는 게 한은의 설명이다. 최근 원·달러 환율은 미국의 고강도 긴축 공포에 따른 강달러 현상과 주요국 통화가치 하락 등 여파로 지난달 말 13년 반 만에 1,440원을 뚫기도 했다.

이 총재는 "9월 이후 원화가치가 급격히 절하된 것이 이번 빅스텝의 주요 요인 중 하나"라며 "이런 현상은 수입 물가를 밀어 올려 물가 상승 하락 속도를 늦추고, 외화 유동성을 압박하는 등 여러 경로로 금융시장에 영향을 미친다"고 말했다. 다만 "(미국의 긴축으로 인해 급등한)환율을 잡기 위해 기계적으로 미국의 금리 인상을 따라가진 않는다"고 설명했다.

그래픽=박구원 기자

그래픽=박구원 기자


"금리 인상 계속"... 11월 빅스텝엔 말 아껴

이 총재는 11월 24일 예정된 올해 마지막 금통위를 포함해 당분간 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했다. 물가 상승률이 5%대를 유지하는 한 추가 금리 인상에 나설 수밖에 없고, 그 과정에서 경기가 뒷걸음질을 치더라도 물가 중심의 통화 정책을 지속할 수밖에 없다는 뜻을 명확히 했다.

그는 "5%대 이상의 물가 오름세가 지속되면 기대 인플레이션을 유발한다는 점에서, 물가 상승 원인과 경기에 대한 희생 여부와 관계없이 우리나라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했다. 한은은 이날 빅스텝 결정으로 경제 성장률이 0.1%포인트가량 낮아질 것으로 예상하는 등 내년 성장률이 종전 전망치(2.1%)를 밑돌 것으로 내다봤다.

금리 인상 사이클에서 기준금리가 최종 연 3.5% 수준까지 오를 것이라는 시장 전망에 대해선 "다수 금통위원이 가진 견해와 크게 다르지 않다"고 답했다. 금리 인상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내년 초까지 0.5%포인트 정도의 추가 인상을 시사한 셈이다.

다만 시장에 비교적 명확한 '포워드 가이던스(선제적 지침)'를 내비쳤던 앞선 금통위 때와 달리, 11월 금리 인상폭에 대해선 금통위원 간 이견이 있다는 이유 등으로 말을 아꼈다. 이 총재는 "11월 미국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비롯해 워낙 많은 불확실성이 있다"며 "11월 금통위 전 일어날 많은 요인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조아름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