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단독

가계 이자만 '33조' 불었는데... 금리 인상 끝이 안 보인다

입력
2022.10.12 18:00
2면
구독

1인당 이자 증가, 최소 연 164만 원
최종금리 3.5% 방침에 계속 늘 듯
이창용 "가계 부채 고려하며 금리 올려"

서울의 한 시중은행에 부착돼 있는 대출 안내판. 뉴시스

서울의 한 시중은행에 부착돼 있는 대출 안내판. 뉴시스

한국은행이 12일 빅스텝(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밟으면서 가계의 이자 부담은 33조 원 이상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이 최종 금리를 0.5%포인트 더 높은 3.5%로 제시하면서 빚 부담은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을 시작했던 건 지난해 8월. 빅스텝을 밟은 이날까지 기준금리는 2.5%포인트나 상승했다. 한은이 강준현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때마다 가계 이자 부담은 총 3조3,000억 원 증가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즉, 1년 2개월간 이자만 33조 원 더 붙었다는 계산이 나온다.

1인당 이자 증가액은 연 164만 원.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 시 1인당 이자 부담이 연 16만4,000원 늘어난다'는 한은의 분석에 대입한 결과다. 이는 단순히 기준금리 인상분만 따진 것으로 은행 가산금리까지 합치면 가계가 체감하는 빚 부담은 훨씬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주담대) 혼합형(5년 고정금리→변동금리) 금리 하단은 5% 돌파를 앞두고 있다. 이날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주담대 혼합형 중 가장 낮은 금리는 4.89%였다.

게다가 이날 은행들이 속속 예·적금 금리 인상 방침을 밝힌 것도 '대출 금리 인상'이란 부메랑이 될 전망이다. 자금 조달 비용이 늘어난 만큼 대출 이자로 메워야 하기 때문이다. 이날 우리·NH농협은행은 각각 최대 1%포인트, 0.7%포인트 예·적금 금리를 인상한다고 밝혔고, 다른 은행도 검토 중이다.

12일 5대 시중은행 대출 금리자료: 각 사

분류 금리
주담대 혼합형(5년 고정→변동금리) 4.89~7.176%
주담대 변동형 4.4~6.848%
전세대출 4.34~6.6%
신용대출 4.92~6.59%

이창용 "우리에게 빅스텝은 선진국 자이언트스텝만큼의 충격"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하고 있다. 이 총재는 이날부터 14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워싱턴DC에서 연이어 개최되는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그룹(WBG) 합동 연차총회에 참석한다. 뉴스1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2일 오후 인천국제공항 제1여객터미널을 통해 미국으로 출국하고 있다. 이 총재는 이날부터 14일(현지시간)까지 미국 워싱턴DC에서 연이어 개최되는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와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그룹(WBG) 합동 연차총회에 참석한다. 뉴스1

가계 부담을 의식한 듯 이창용 한은 총재는 기자간담회에서 "금융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관찰하며 금리를 올리고 있다"고 누차 강조했다. 이날 빅스텝도 "금융시장 안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수준까지는 아니라는 데 근거했다"고 설명했다. 일부의 자이언트스텝(0.75%포인트 인상) 주장엔 "우리에게 빅스텝은 고정금리 비율이 높고 가계 부채가 적은 선진국에서의 자이언트스텝만큼의 충격"이라고 선을 그었다.

금리 인상이 높은 수준의 가계 부채 비율을 조정하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다고도 덧붙였다. 그는 1년 2개월 동안의 금리 인상으로 "가계 부채 성장 속도가 1% 정도 둔화하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도 총재의 '깨알 투자 조언'이 나왔다. 그는 "서울대 발전기금 등 자산 운용을 많이 해 본 입장에서, 기준금리가 3%라는 얘기는 국고채, 정부 채권, 정기예금에서 5~6%의 수익률을 확보할 수 있다는 뜻"이라며 서학 개미의 국내 '유턴'을 북돋았다.

그는 이전에도 '영끌(영혼까지 끌어서 투자)'을 주도한 2030세대를 향해 "금리가 장기적으로 그 자리에 머물 것 같다는 가정보다는 위험이 있다는 걸 보고 의사 결정을 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윤주영 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