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평택 일대 2GW 전력공급하면서 4000억 절감... '상호 윈윈' 이끌어낸 한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세계 모든 기업에 환경(E), 사회(S), 지배구조(G)는 어느덧 피할 수 없는 필수 덕목이 됐습니다. 한국일보가 후원하는 대한민국 대표 클린리더스 클럽 기업들의 다양한 ESG 활동을 심도 있게 소개합니다.
"한국전력과 민간 기업이 협력해 상호 윈윈(Win-Win)하는 전력 공급 생태계를 함께 조성해 갑시다."
정승일 한전 사장은 지난달 15일 경기 평택시의 삼성전자 평택 캠퍼스에서 '평택 캠퍼스 2단지(5·6라인) 전력 인프라 확충을 위한 전력공급협약(MOU)'을 체결하는 자리에서 이렇게 말했다. MOU를 통해 한전과 삼성전자는 삼성 평택 캠퍼스 1단지(1~4라인) 외 추가로 투자 계획 중인 평택 캠퍼스 2단지(5·6라인)에 최대 2기가와트(GW)의 전력을 제때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돼 국가 첨단 전략산업인 반도체 성장 기반 마련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정승일 사장이 이번 MOU 체결 뒤 '상호 윈윈'이라고 언급한 건 약 3년 동안 한전과 산업통상자원부, 삼성전자 간 3자 협의를 통해 이끌어낸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당초 삼성전자 측이 요청한 평택 지역 반도체 단지에 대한 안정적 전력 공급망 마련에는 장벽이 많았다. 반도체 생산용 전용 설비뿐 아니라 배후 단지 전력 공급에 필요한 설비를 따로 마련하는 건 비효율적이었다. 또, 공용 설비를 검토해 보니 전기 공급 규정인 '기본공급약관'에 기업과 한전이 통합해 설비를 구축할 수 있는 구체적 내용이 담겨 있지 않아 곤란했다. 대규모 전력 공급에 필요한 변전소나 송전선로 건설에 대한 지역 주민 반발도 거셌고, 설비 구축비와 운영비 등의 비용을 누가 댈 것인지 등에 대한 이견 조율도 쉽지 않았다.
결국 한전과 정부, 삼성전자는 2020년 2월 투자비용을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전력 인프라를 건설하기 위한 상생 협력 방안을 이끌어 내기로 결정했다. 국내 최대 로펌으로부터 약관 적용과 관련해 법률 자문을 받는 등 검토 끝에 약관을 최대한 적극 해석해 일을 풀어 나가게 됐다. 같은 해 10월 구성한 삼성전자-한전 간 실무협의체를 통해 통합 설비 구성 방법이나 비용 부담 방안, 설비공사 주체 등에 관한 세부사항을 조율했고, 통합 설비로 취할 수 있는 양측의 이점을 구체화해 나갔다. 세 차례에 걸친 실무진 협의 결과 큰 틀에서 초안을 마련한 양측은 올해 4월 효율적 전력 인프라 건설을 위한 경영진 협의체 단계에 이르렀고 결국 최종안을 만들어 냈다.
최종안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2GW 공급 요청을 충족시키면서도 평택 지역의 전력 공급에도 쓸 수 있게 됐다. 당초 예상했던 345킬로볼트(㎸)의 고객선로는 취소하는 대신, 154㎸ 선로로 대체해 송전선로 길이가 26㎞에서 15㎞로 줄어들어 삼성전자와 한전이 각각 2,100억 원씩 총 4,200억 원의 비용을 아끼는 효과가 생겼다. 이에 따라 총투자비도 1조6,200억 원에서 1조2,000억 원으로 줄었다. 민간 기업의 수요를 만족시키면서도 평택 지역의 공공 이익에 맞아떨어지는, 모두에게 보탬이 되는 결과물이 나온 것이다.
한전이 정부 및 기업과 머리를 맞댄 끝에 모두가 만족스러운 결과를 이끌어 낸 건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SK하이닉스는 경기 용인 지역에 2.34GW의 전력 공급을 요청했다. 삼성전자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반도체 생산용 전용 설비와 배후 단지 전력 공급을 위해 중복 투자 문제가 발생했고, 대규모 송전선로 건설에 뒤따르는 지역 주민의 민원이 쇄도했다. 하지만, 한전과 SK 측은 실무진 협의체를 구성해 13회 협의했고, 큰 틀에서 해결 방안을 마련한 뒤 경영진 협의체까지 거쳐 지난해 12월 산업부와 SK하이닉스, 한전 간 전력공급 협약을 체결하게 됐다.
결과적으로 당초 한전이 오롯이 비용을 부담해야 했던 협력단지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송전선로 13㎞와 SK 측이 만들어야 했던 전력수전용 설비 건설은 하지 않고, 한전과 SK 측이 따로 예상했던 것보다 규모를 키운 전력공급 통합설비를 구축할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총 8,064억 원이 투입될 것으로 예상됐던 투자 비용은 6,897억 원으로 줄었다. SK 측과 한전은 각각 906억 원, 261억 원 등 총 1,167억 원을 덜 쓰게 된 것이다.
또, 당초 SK 측이 요청했던 2.34GW와 배후 협력단지에 필요했던 0.49GW에 더해 용인 지역에 300메가와트(㎿)의 전력을 추가 공급할 여력을 확보하게 됐다. 보다 적은 비용으로 전력 요청 기업뿐 아니라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까지 전반적으로 넉넉한 전력을 확보하게 된 셈이다. 정부와 기업, 한전이 힘을 합쳐 'K반도체 클러스터'에 최적의 전력 공급 인프라를 구축하면서 비용을 절감하고 송전철탑 등의 민원도 해소한 대표적인 모범 사례다.
한전은 앞으로 기업 등과 협업해 전력 공급은 물론, 국가적 과제인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 등 협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한전 관계자는 "세계 최고 수준인 우리나라의 전기 품질은 오늘날 반도체 산업 등 국가 첨단 전략산업 성장을 만든 밑바탕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 11대 국정과제에 포함된 반도체 초강대국 달성 전략에 따라 우리나라 K반도체 산업이 세계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기업들의 의견을 적극 청취하고 협업 방안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예정"이라고 강조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