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 1조 원대 내부 거래... '문어발식 확장' 지속 우려

입력
2022.10.09 18:00
9면
구독

4년 새 2배·7배로... 계열사 워낙 많아
"플랫폼 특성상 이용자 묶어두기 수월"

홍은택 카카오 각자대표가 7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 한국소비자원, 한국공정거래조정원 대상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홍은택 카카오 각자대표가 7일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의 공정거래위원회, 한국소비자원, 한국공정거래조정원 대상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 뉴스1

국내 대표 인터넷 플랫폼 기업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지난해 계열사 간 내부 거래 규모가 각각 1조 원을 훌쩍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카카오는 4년 새 7배 수준으로 늘었다. ‘문어발식 사업 확장’을 멈추지 않은 결과다.

국회 정무위원회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이 공정거래위원회에서 받아 9일 공개한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기업집단 네이버와 카카오의 지난해 내부 거래 금액은 각각 1조1,503억6,900만 원, 1조4,692억7,400만 원이다. 4년 전인 2017년 당시와 비교해 네이버는 2.3배, 카카오는 7.3배 커진 금액이다. 2020년까지만 해도 네이버보다 내부 거래액이 한참 적던 카카오가 지난해 규모를 전년 대비 85.1%까지 확 늘리며 네이버를 추월했다.

내부 거래액 급증은 계열사 수 증가와 연관이 있다는 게 윤 의원실의 분석이다. 2018년(매년 5월 1일 기준) 72개였던 카카오의 계열사는 2020년 97개, 지난해 118개로 늘어나더니 올 들어 136개에 이르렀다. 지난해 10월 국감에서 전방위적인 사업 확대가 골목 상권을 해친다는 지적을 받고도 결과적으로 계열사를 18곳이나 늘렸다. 2018년 이후 지난해까지 45곳이 넘지 않던 네이버의 계열사도 지난해 54곳으로 대폭 증가했다.

계열사 간 내부 거래 자체가 불법은 아니어도, 기본적으로 특정 기업집단이 시장 지배력을 갖는 사업 영역이 지나치게 많아지고 기업집단 내부 거래가 빈번해지는 것이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라는 게 다수의 의견이다. 경쟁이 약해져 소비자 권익이 침해되고, 중소기업과의 상생도 멀어지기 때문이다.

이런 사업 확장에 각별히 유리한 분야가 플랫폼 서비스다. 특성상 사업자가 한번 이용자를 유치하고 나면, 다른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했을 때에도 기존 고객군(群)을 묶어두기가 수월해서다. 이른바 ‘락인(lock-in)’ 효과다. 윤 의원은 “락인 효과를 감안할 때 플랫폼 기업의 계열사 확장과 내부 거래 확대가 일반 기업보다 더 우려되는 게 사실”이라며 “공정위는 사후 약방문식 규제에서 벗어나 소비자 권익 보호 관점에서 예방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 권경성 기자
세상을 보는 균형, 한국일보 Copyright © Hankookilbo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