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고령 환자, 음식 잘 씹지 못하면 치매 걸릴 위험 커져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만 14세 이상만 회원으로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60세 이상 고령 환자가 음식을 잘 씹지 못하면 치매에 걸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음식물을 씹는 능력이 떨어지면 뇌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줄어들 수 있기에 임플란트와 보철 치료로 저작(咀嚼)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는 게 연구팀의 주장이다.
차재국ㆍ박진영ㆍ고경아 연세대 치대 치주과학교실 교수 연구팀은 고령 환자가 이를 뽑은 뒤 임플란트 등의 치아 복구 조치를 취하지 않고 빈 곳을 방치해 씹는 능력이 떨어지면 치매 발생 위험이 커진다고 30일 밝혔다.
음식물을 씹는 저작 능력이 떨어지면 뇌 학습 능력과 기억력이 줄어들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음식물이 잘게 쪼개지지 않아 영양소가 체내에 잘 흡수되지 못하고, 잇몸 등으로 들어간 음식물이 썩어 만성 치주염 등을 일으켜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치아 상실과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는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2014~2020년 연세대 치대병원에서 진료받은 이력이 있는 60세 이상의 환자 488명(치매군 122명, 대조군 366명)을 대상으로 치아 상실과 치매 발생의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조사 대상 488명은 2005~2010년 처음 내원했다가 다시 병원을 찾은 환자들로 초진 당시에 치매를 앓던 환자는 없었다.
두 시험 군의 저작능력을 비교 평가하기 위해 소실 치아 개수와 치아 복구 조치 비율 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치매군에서 감소한 평균 치아 개수는 6.25개로 대조군(4.53개)보다 더 많았다.
발치 뒤 복구하지 않고 치아의 빈 곳을 그대로 방치한 비율도 치매군에서 높았다. 치매군에서 소실 치아 방치 비율은 56.48%였지만 대조군에서는 42.6%였다.
치매가 발병하지 않은 대조군에서는 발치 등으로 치아를 잃으면 임플란트·보철 치료로 빈 곳을 메워 저작 능력을 보존한 경우가 77.48%로 치매군(66.56%)보다 더 많았다.
차재국 교수는 “노화에 따라 자연 소실, 발치 등으로 치아를 잃기 쉽지만 그대로 방치하면 음식을 잘 씹지 못하게 된다”며 “저작 능력 저하와 치매 발병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이번 연구 결과에 따라 임플란트와 보철 치료로 저작 능력을 유지하는 것이 치매 예방에 중요하다”고 했다.
연구 결과는 연세대 의대에서 발간하는 종합 의학 학술지 ‘연세의학저널(YMJ)’ 최신 호에 실렸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