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대우, 정치적 판단 오류로”…
외환위기 그리고 김우중의 한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2008년 경험' 한화 인수작업 간소화 예상
업황 회복 속도·한화 투자 의지도 관건
26일 오후 경남 거제시 아주동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 설치된 대형 크레인. 거제=연합뉴스
국내 조선 '빅3' 중 하나인 대우조선해양이 20년 넘는 매각 작업 끝에 새 주인을 맞게 된 가운데, 업계에선 시너지 효과가 충분히 일어날 거란 기대와 낙관적 전망만을 내놓을 순 없단 우려가 공존한다. 구조조정 우려 등에 따른 노조 측 반대와 고환율 글로벌 경제 상황이 나빠지는 분위기 등을 봤을 때 과제도 만만찮을 거란 예상 때문이다.
26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한화의 대우조선 인수는 어느 정도 예견된 시나리오 중 하나였단 평가다. 업계 관계자는 "한화가 2008년에 입찰을 한 상황인 데다 최근 방산 사업을 키우는 과정에서 대우조선 인수 움직임을 계속 보여 왔던 건 사실"이라며 "한화가 대우조선에 대한 이해도가 높고 인수 과정도 다른 주체보다 복잡하지 않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2001년 채무조정(워크아웃) 졸업 후 산업은행 관리를 받으며 민영화를 추진해 온 대우조선은 2008년과 올해 각각 한화그룹과 현대중공업그룹에 인수될 뻔했지만 없던 일이 됐다. 그러나 한화그룹이 다시 적극적으로 움직이면서 대우조선은 21년 동안 달았던 '주인 없는 회사'라는 꼬리표를 뗄 수 있게 됐다.
조선업이 '슈퍼사이클'에 접어든 데다 2008년 6조 원대였던 대우조선 몸값이 2조 원 수준으로 떨어진 터라 한화의 적극적 투자와 대우조선 구성원들의 경영 정상화 의지가 만날 경우 시너지를 얻을 거란 게 업계 전반의 시각이다.
그렇다고 '꽃길'만 보이는 건 아니다. 올해 유독 도드라진 논란이 매각 작업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걱정도 나온다. 대우조선은 2월 신임 대표이사로 문재인 전 대통령 동생의 대학 동기인 박두선 사장을 선임, 정권 말 '알박기 인사'가 아니냐는 논란이 일었고, 6월엔 대우조선 하청노조가 국내 최대 조선소 중 하나인 거제 옥포조선소의 5개 독(dock·선박 건조장) 중 가장 큰 제1독을 점거한 채 파업을 벌이면서 조업 중단 사태를 맞았다.
51일 동안 이어진 파업은 7월 22일 마무리됐지만 회사 측은 작업 중단에 따른 손실이 수천억 원대에 달할 것으로 보면서 지난달 말 하청노조 집행부를 상대로 470억 원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진행했다. 인수 과정에서 일정 부분 구조조정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여, 손배소 취하와 구조조정 등을 둘러싼 노사 관계 악화도 넘어야 할 산으로 꼽힌다.
대우조선해양이 올해 액화천연가스(LPG) 운반선 30척 등 약 86억 달러(약 12조2,500억 원) 상당의 수주 계약을 맺는 등 수주 잔고가 늘었다고는 하지만, 수주 단가가 떨어진 상황이라 실적 개선에 큰 도움이 되진 않을 거란 전망이 우세하다. 김홍균 DB금융투자 파트장은 "고환율 등 글로벌 경제상황을 낙관할 수 없고, 단기적으로 침체가 심화할 경우 조선업황 회복 속도가 더뎌질 수 있어 한화의 지원 여력과 의지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해당 컨텐츠를 구독/취소 하실수 없습니다.
댓글 1,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