콩팥병, 소변을 보면 안다

입력
2022.09.24 05:30
구독

비정상적인 ‘소변량·소변 색깔·소변 습관’ 콩팥병 위험 신호

게티이미지뱅크

게티이미지뱅크

콩팥은 작지만 많은 일을 한다. 전해질과 혈압, 칼슘·인·비타민 D를 조절해 몸의 항상성을 유지해준다. 적혈구 생산과 뼈를 튼튼하게 하는 역할도 맡고 있다. 특히 하루 120L의 피를 맑게 걸러준다. 혈액 속 노폐물을 제거해 소변으로 배설한다.

콩팥병이 생기면 수분과 노폐물이 몸에 쌓이고, 체액이 산성으로 변한다. 빈혈이 생기고, 비타민 D 활성화가 안 돼 부갑상샘 호르몬이 비정상적으로 과하게 분비돼 뼛속 칼슘이 빠져나간다.

그로 인해 피로감, 식욕 부진, 메스꺼움, 구토, 가려움증, 불면증, 고혈압, 부종, 호흡곤란, 부정맥(불규칙한 심장박동)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콩팥이 나빠지면 거품뇨가 보이거나 소변 색이 붉게 변하기도 한다. 노폐물이 걸러지지 않은 비정상적인 소변은 ‘콩팥병’ 위험 신호일 수 있다는 것이다.

먼저 소변량을 체크해보자. 소변량이 줄어들었다면 몸속 체액량이 심하게 줄어서 빠른 시간 안에 수분과 염분을 공급해야 한다는 신호다. 의학 용어로 ‘핍뇨증’으로 불린다.

소변량은 보통 하루에 500mL~3L 정도다. 500mL 이하까지 줄면 콩팥 자체에 이상 생길 위험이 높다. 1회 소변량은 줄었지만 대신 자주 소변을 보면서 총량이 변하지 않았다면 방광이나 전립선 문제일 가능성이 높다.

소변을 보고 싶은 느낌이 있지만 소변이 나오지 않고 아랫배가 부풀어 오르면 역시 방광이나 전립선 문제일 수 있다.

반대로 소변량이 늘어도 콩팥병을 의심해봐야 한다. 소변량이 하루 3L 이상인 ‘다뇨증’은 호르몬 이상이거나 혈당이 높거나 이뇨제 복용, 염분이 포함된 수액을 맞았을 때 발생할 수 있다. 소변보는 횟수만 증가하고 한 번에 보는 양은 적어 소변 총량이 늘지 않았다면 방광 질환이나 전립선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소변을 자주 보는 ‘빈뇨’도 문제다. 소변을 보는 횟수는 하루 5~7회 정도다. 하루 8회가 넘거나 소변을 보는 간격이 2시간 이내라면 빈뇨에 해당한다. 빈뇨와 소변을 보고도 시원하지 않은 느낌(잔뇨감), 소변이 잘 안 나오는 느낌, 소변을 참을 수 없는 느낌(절박뇨), 소변을 볼 때 아랫배나 요도 부근 통증(배뇨통)이 갑자기 시작됐다면 방광염을 우선 의심한다.

방광염이 아니라면 과민성 방광 같은 방광의 기능적 문제를 생각할 수 있다. 남성이라면 전립선 질환일 가능성도 높다.

또 소변을 자주 보는 ‘야간뇨’도 위험 신호다. 자다가 깨서 2번 이상 소변을 보면 야간뇨에 해당한다. 야간뇨는 만성콩팥병, 전립선비대증이 있는 환자에서 나타날 수 있다. 변비가 심할 때도 야간뇨가 있을 수 있다.

소변에서 거품이 나는 ‘거품뇨’가 보이면 콩팥병을 체크해 봐야 한다. 모든 거품뇨가 단백뇨는 아니지만, 거품이 작고 개수가 많으며 몇 분이 지나도 거품이 꺼지지 않는 경우에는 단백뇨를 의심해야 한다.

소변색도 중요하다. 소변색이 검붉거나 피처럼 빨갛거나 분홍색이면 피가 나오는 혈뇨 이외에도 약, 음식, 심한 근육 손상(횡문근융해증) 때문일 수 있다. 갈색뇨는 간 질환을 의심할 수 있다. 혈뇨는 사구체신염, 콩팥이나 방광, 전립선 종양, 염증 등 원인이 다양하다. 나이나 성별, 혈뇨 양상에 따라 질병이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젊은 여자가 갑자기 배뇨통, 절박뇨가 있으면서 혈뇨가 나온다면 급성 방광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반면 남성 고령인이 혈뇨가 있다가 저절로 사라졌다 하는 양상을 보이면 방광암 검사를 꼼꼼히 시행해야 한다.

소변색이 뿌옇고 탁하거나, 소변에 찌꺼기가 있다면 염증이 있거나 음식에 함유된 요산이나 인산이 원인일 수 있다.

이 밖에 △몸이 붓는다(부종) △혈압 조절이 안 된다 △피부가 건조하고 가렵다 △수면장애가 있다. △입맛이 없다. 음식 냄새가 역하다. 메스껍다. 토한다 △쥐가 잘 난다. 이런 증상이 있으면 콩팥병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콩팥병이 의심되면 혈액검사(사구체여과율), 소변검사, 영상 검사, 방광경 검사, 콩팥 조직 검사 등을 통해 정확히 알 수 있다.

특히 사구체 여과율은 콩팥 기능을 평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수치다. 콩팥이 1분 동안에 걸러주는 혈액의 양이 ‘사구체여과율’이다. 정상 사구체여과율은 분당 90~120mL 정도다. 1분 동안 90~120mL 정도의 혈액을 깨끗하게 청소한다는 뜻이다. 의사들이 “콩팥 기능이 떨어졌다”고 흔히 말하는데 이는 통상적으로 “사구체여과율이 감소됐다”는 뜻이다.

한금현 일산백병원 신장내과 교수는 “콩팥병 환자는 콩팥 기능이 심하게 떨어질 때까지도 아무런 증상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상당히 흔하다”며 “특히 서서히 진행된 만성콩팥병(만성신부전)이라면 투석 치료가 필요한 말기 신부전 시기가 되어야 증상을 자각하는 환자도 적지 않다”고 했다.

한금현 교수는 “증상이 없으면 콩팥병이 있는지 알기 위해 최소한으로 해야 할 검사는 혈압, 혈액 크레아티닌과 이를 계산하여 추정한 사구체여과율, 소변 단백뇨 정도”라며 “정부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에 이 항목이 포함돼 있으므로 빠트리지 말고 검진을 받고 수치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댓글 0

0 / 250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
중복 선택 불가 안내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기사가 저장 되었습니다.
기사 저장이 취소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