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내는 기사
“대우, 정치적 판단 오류로”…
외환위기 그리고 김우중의 한탄
이미 가입된 회원입니다.
ⓒREUTERS
미디어 이론가 마샬 맥루한은 '미디어의 이해'라는 저서에서 "매체가 진짜 메시지다"라고 주장했다. 보통 TV나 신문 같은 매체는 도구일 뿐이고 그 매체가 인간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은 거기 담겨 전달되는 내용에 달려 있다고 생각하기 쉬운데, 진짜 우리에게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담긴 내용보다 매체의 형식 자체라는 것이다. 맥루한에 따르면 매체의 가치가 거기 담겨진 내용에 따라 결정된다는 생각은, 마치 총기는 선하지도 악하지도 않고 그 총기를 누가 어떻게 사용하는지가 그 가치를 결정한다는 주장처럼 문제의 본질을 왜곡한다. 고성능 반자동 소총의 진짜 메시지는 누가 그걸로 누구를 죽이느냐가 아니라 훈련을 받지 않은 사람도 순식간에 많은 사람의 목숨을 빼앗을 수 있는 총기 자체인 것처럼, 새로운 매체의 진짜 메시지도 그 매체가 사람들의 행위와 상호작용의 규모와 형태를 어떻게 바꾸는지에 달려 있다.
지난달 한국의 '심심한 사과' 논란을 보면서 맥루한의 이 명제를 떠올린 게 나만은 아니었을 것 같다. 나는 '심심한'이라는 표현의 뜻을 모르는 사람이 있다는 건 대수롭지 않게 생각한다. 나도 어릴 때 신문에서 이 표현을 보고 어리둥절했던 기억이 있다. 이 논란에서 정작 내 관심을 끈 것은 트위터에서 낯선 표현을 보고 이상하다고 생각해 10초 정도 시간을 들여 검색해 보기보다는 자기 편의로 해석해 바로 분노의 댓글들을 달았다는 사실이다. 어릴 때 신문에서 같은 표현을 보고 어리둥절한 나의 첫 대응은 길거리에 뛰쳐나가 왜 사과를 심심하게 해서 국민을 우롱하냐며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는 것이 아니고, 옆에 있던 아버지에게 조용히 그 뜻을 물어보는 것이었다.
물론 분노의 댓글을 단 사람들이 나보다 인내심이 없거나 성격이 공격적이어서 그런 것은 아니었을 것이고, 종이신문과 SNS라는 매체의 형식이 더 큰 역할을 했을 것이다. SNS에서 우리는 끊임없이 쏟아지는 짧은 메시지들을 손바닥만 한 화면에서 빠른 속도로 넘겨 보며 어떤 메시지에 '좋아요'를 누르고, 어떤 것을 공유하고, 무엇에 짧은 댓글을 달지 결정하도록 강요받는다. 짧은 메시지를 곱씹어 보거나 그 너머의 좀 더 자세한 배경 정보를 찾거나 하기 위해 뜸을 들이면, 그 메시지는 이미 '어제 뉴스'가 되어 있다. 어쩔 수 없이 우리는 좋음과 싫음의 이분법으로 순간적으로 판단하고 즉각적인 반응을 세상 모든 사람이 볼 수 있는 공간에 내던진다. 당연히 그 판단의 기준은 우리가 이미 가지고 있는 편견이고, 이렇게 확증 편향은 SNS 시대의 작동 매뉴얼이 된다.
최근 미국 퓨리서치센터 조사에 의하면, 미국 10대의 46%가 인터넷 서비스를 "거의 끊임없이" 사용하고 48%는 최소 하루에 여러 번 사용한다고 한다. 또 다섯 중 하나는 유튜브를 "거의 끊임없이" 사용한다고 한다. 불행히도 우리 집 10대를 보면 틀리지 않은 통계치다. 맥루한은 새로운 기술은 우리가 세상을 지각하는 감각의 비율과 유형을 아무런 저항 없이 바꾸고, 그 과정에서 끊임없이 쏟아지는 새로운 유형의 정보 범람은 쉽게 정신 붕괴라는 결과를 가져온다고 경고했다. 60년 전 종이책에 실린 선견지명을 10대 아이에게 전달하려면 3분짜리 유튜브 동영상이라도 만들어야 할까? 하지만 매체가 메시지라고 했으니 딜레마가 아닐 수 없다.
신고 사유를 선택해주세요.
작성하신 글을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 한 후 이용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이미 공감 표현을 선택하신
기사입니다. 변경을 원하시면 취소
후 다시 선택해주세요.
구독을 취소하시겠습니까?
댓글 1,324